‘안내서와 스티커 제작부터 생명가방·대피훈련까지….’
전국 지자체들이 지진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규모 5.8의 강진이 강타한 영남권 지자체들이 적극적이다.
부산시와 기장군은 다음 달 안전한국훈련 기간에 ‘안전부산훈련’을 갖는다고 28일 밝혔다. 지진과 해일 발생에 대비한 피해 예방훈련이다. 기장군은 비상식량과 구급약품 등을 담은 ‘생명가방’을 제작해 6만여 가구에 연말까지 나눠주기로 했다.
충남도 역시 1978년 홍성에서 5.0의 지진이 발생한 지 38년째가 되는 다음 달 7일 대규모 지진대피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광주 남구는 지진 발생원인 등에 대한 정보와 행동요령이 구체적으로 담은 ‘지진 발생 대비 10대 행동요령 안내서’ 9만부를 제작해 주민들에게 배포하기로 했다. 부산 남구와 중구, 동구, 사하구 등은 최근 시민 행동요령 등을 담은 매뉴얼을 대량 배포했다. 해안대구는 대피장소와 주의사항 등이 적힌 가전제품 부착용 스티커를 제작해 나눠주기로 했다.
지진계측 장비를 설치하고 내진보강 사업에 나서는 지자체도 늘고 있다.
광주시와 인천시는 지진가속도 계측기를 4∼5곳의 구청에 추가 설치하고 학교와 교량, 터널 등의 내진시설을 단계적으로 보강하는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울산시 등은 지진 전문직 공무원을 채용해 지진계측의 전문성을 확보하기로 했으며 강원도는 지진 관련 영상을 각종 행사 때 주민들에게 교육용으로 상영한다는 계획이다. 지진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5개년 종합대책을 수립한 경북도와 충북도 등은 공공시설물과 다중이용 시설의 내진 설계율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자치부는 최근 기존 민간 건축물이 내진 기능을 새로 갖출 경우 지방세 특례제한법에 따른 감면혜택을 대폭 늘리는 등 지진대응의 민간참여를 확대하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각 지자체가 시민들의 생활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는 데 골몰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안내책자·생명가방·대피훈련… 지자체, 지진대책 세우기 골몰
입력 2016-09-28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