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된 노다지’ 대나무 숲 복원 나섰다

입력 2016-09-28 17:33
경남 산청군 시천면 반천리 방치된 대나무 숲(왼쪽)과 경남 진주시 가좌동 잘 관리된 대나무 숲.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황폐화되고 있는 대나무 숲 복원방안을 찾아 나섰다.

산림과학원 유병오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연구사는 최근 대나무 숲 1차 복원방안으로 ‘대나무 자원 현황과 문제점’을 발표했다.

28일 산림과학원이 발표한 ‘대나무 자원 현황과 문제점’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대나무 분포 면적은 2만4111ha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대나무 숲으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 면적은 절반도 되지 않는 1만1587ha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연구사는 “70년대까지 활성화되었던 대나무 산업이 80년 초부터 쇠퇴하기 시작, 대나무 숲이 방치됨에 따라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고 인근 산림을 잠식하고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지금 대나무 숲의 보전 및 확대와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절실한 때”라고 말했다.

산림과학원은 앞으로 ‘대나무 자원 활성화 연구팀’을 구성, 구체적인 대나무 숲 복원방안을 찾아나설 방침이다.

국내 대나무 관련 산업이 쇠퇴하는 이유는 생필품의 산업화에 따른 각종 대나무 제품이 대량 생산되는 공산품으로 대체되고, 식생활 변화에 따른 죽순 소비의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대나무 숲가꾸기, 나무베기 및 제품 가공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으로 중국 및 동남아에서 제조된 값싼 죽세공품이 대량으로 유입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우리나라 자생 대나무류는 5속 19종이다. 이 중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은 종류로 왕대, 솜대, 맹종죽을 꼽고 있다.

왕대와 솜대는 강원도 양양에서부터 동해안을 따라 강릉, 삼척으로 이어지며 경북 안동과 김천을 거쳐 충북 영동, 전북 무주 및 충남 부여, 태안으로 연결되는 이남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맹종죽은 내한성이 약해 남부지역 일부에서만 재배가 가능한데 경남 거제지역이 우리나라 맹종죽의 80% 이상을 생산하는 주산지다.

대나무는 죽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발순에서부터 생장이 완료되기까지 모든 과정이 2개월이면 끝난다. 그 이후에는 경화 과정을 거치는데, 죽순이 발순을 시작한 지 3∼5년이 지나면 각종 산업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농경사회를 기반으로 살아온 우리민족의 생활에서 대나무는 죽세 가공에 의한 각종 생활용품에서 농·어업용 자재, 문방필기구, 조경소재, 식·약용 원료, 건강식 재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용돼 왔다.

하지만 대나무 숲 생산농가의 소득원이 크게 감소하면서 대나무 숲 경영에 대한 의욕을 상실, 대나무 숲은 오랫동안 방치돼 크게 쇠퇴하고 황폐화된 게 오늘 현실이다. 1980년대 초부터 이같은 황폐화는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최근 화학제품의 사용으로 인해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검출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남성현 원장은 “대나무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대표적 주요 경제작물 중 하나였으나 최근 들어 경제적·사회적 생활여건의 변화와 소재의 다양화로 인해 과거 노다지로 불리던 국내 대나무 관련 산업은 심각한 위기에 빠져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며 “대나무 산업이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복원방안을 적극 찾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