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국감 막아라”… 김영우 국방위원장 ‘3시간 감금’

입력 2016-09-27 18:09 수정 2016-09-27 21:29
새누리당 의원들이 27일 당 방침을 깨고 국정감사를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힌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의 국감 참여를 저지한 후 국방위원장실을 나서고 있다. 김 위원장이 굳은 표정으로 자리에 그대로 앉아 있다. 이동희 기자

국회 국방위원장인 새누리당 김영우 의원이 국정감사를 주재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국정감사를 보이콧하기로 한 당론과 정면 배치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국회 국방위원장실을 찾아 3시간가량 김 의원을 사실상 감금하면서 이날 국방위 국감은 결국 파행했다.

김 의원은 이날 당 소속 국방위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국정감사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정 의장 사퇴를 위해 분투하시는 모든 의원님께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면서도 “저는 의회민주주의 원칙에 따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 핵 위협과 전날 해군 헬기 사고 등을 들며 “국방위 국정감사마저 늦추거나 하지 않는다면 나라가 어떻게 되겠느냐”고 했다. 이어 “그저 제 양심과 소신이 시키는 대로 행동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당 지도부의 만류에도 뜻을 꺾지 않자 김무성 김성태 경대수 의원 등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방위원장실을 찾아 김 의원을 막고 설득하는 등 국감 출석을 사실상 저지했다. 김 의원은 또다시 국방위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제가 지금 국방위원장실에 갇혀 있다”며 “이래선 안 된다. 이렇게 해서야 어떻게 의회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는 말을 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이 메시지를 접한 야당 관계자가 경찰에 신고해 경찰이 출동하는 해프닝도 빚어졌다.

3시간 만에 풀려난 김 의원은 “참으로 비통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면서도 “앞으로 계속 (국감이) 열릴 것이라는 것이 제 소신”이라고 했다.

김 의원의 행동에 대해 당내에서는 “진정성과 소신은 높게 사지만 당대표가 단식투쟁을 하는 시국에 당론과 다른 돌출행동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높다. 서청원 의원은 “외국 정당도 종교와 양심의 자유에 관한 것은 개인에게 위임하지만 당론은 따르게 돼 있다”며 “양심·종교와 달리 당론은 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박(비박근혜)계 중진 정병국 의원도 “각자 생각은 있을 수 있지만 일단 당론이 모아졌으면 당론대로 따르는 게 당인으로서 도리”라고 했다. ‘김 의원 감금 사태’로 야당의 대여(對與) 비난이 확산되면서 여야의 경색 국면을 풀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위원장인 김 의원의 불출석으로 이날 국방위 국감은 취소됐다. 국방위 야당 간사들은 합참 등 7개 기관에 대한 국감 일정을 여야 간사 간 협의를 통해 재조정키로 했다.

[관련기사 보기]






글=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사진=이동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