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강대강 대치 국면이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여야 원로 6명은 27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의 양보나 적극적인 중재 역할,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의 단식 농성 중단 등 극단적 대결 구도에서 먼저 벗어날 것을 조언했다. 이들은 여론의 압박에 밀려 결국 국회 파행이 정상화되겠지만 그 사이 뒷전으로 밀려나는 민생 문제를 가장 우려했다.
원로들은 우선 이번 국회 공전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며 안타까워했다. 김수한 전 국회의장은 “날선 대립을 보이고 있는 여야의 이런 분위기가 풀리려면 시간이 흘러야 한다”며 “여야를 막론하고 누구의 잘못 때문이라는 자기중심적 생각을 하지 말고 국민을 가장 먼저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은 “야당은 국민 여론 수렴이라는 측면에서 해임건의안을 받아들이라고 하고 여당은 불법적 통과이며 해임 사유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며 “결국 장기교착 상태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 역시 해임건의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누가 후퇴하겠느냐”며 “여야가 시간을 끌면 어떻게든 해결되겠지만 그동안 국정은 마비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장이 먼저 ‘화해의 제스처’를 던져야 한다는 제안도 있었다. 새누리당 김용갑 상임고문은 “새누리당 이 대표의 단식도 해결 수단이라기보다는 하소연에 가깝다”며 “정 의장이 사과를 하고 여당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제안을 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상임고문은 “여소야대 구도에다 레임덕(임기 말 권력 누수)까지 겹치면서 앞으로도 정부·여당이 한 발도 못 나아가는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야권 원로들은 새누리당 이 대표의 단식 농성 중단을 전제로 한 정 의장의 중재 역할에 방점을 찍었다. 국정을 책임져야 할 집권여당이 극한의 대립 구도를 자초해선 안 된다는 취지다. 임채정 전 국회의장은 “여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누가 봐도 납득하기 어렵고 정 의장 사퇴 요구는 언어도단”이라며 “대화로 풀려고 하지 않고 단식이라는 극단적 방법을 택한 여당의 책임이 매우 크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가 단식을 풀고 대화를 시도하면 정 의장도 여당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정치적 입장 표명을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상현 상임고문도 “집권여당 대표의 무기한 단식 투쟁은 결과적으로 박근혜정부만 궁지로 몰아가는 최악의 선택”이라며 “극단적 언행을 삼가야 한다”고 했다. 김 상임고문은 “정 의장의 (중재) 노력을 뒷받침하려면 국정감사를 2∼3일 연기하자는 정 의장 제안을 더민주에서도 받아들여야 했다”며 “더민주로서도 현재 제안을 할 게 없지 않으냐”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일방적 국정 운영이 경색 국면을 초래했으며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사퇴만이 해법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민의당 정대철 상임고문은 “노무현 전 대통령도 여소야대 구도에서 ‘져주면서 이기는 게임’을 했다”며 “박 대통령이 상대를 완패시켜 자신이 완승하려 하지 말고 서로 주고받는 타협의 정치를 해야 한다”고 했다. 노무현정부 시절 해임건의안 가결 후 사임했던 김두관 전 행정차지부 장관 사례를 거론하며 “결과적으로 여야가 타협하려면 (장관) 본인이 그만두는 방법밖에 없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
김경택 최승욱 기자 ptyx@kmib.co.kr
“파국 장기화는 안된다”… 극단적 대결구도 先탈출 주문
입력 2016-09-28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