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740만명 고독성물질 노출 우려”

입력 2016-09-27 18:24
발암물질을 포함한 고(高)독성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인구’가 전국에 740만명가량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27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사단법인 ‘일과건강’과 함께 ‘전국 발암물질 위험인구’를 조사한 결과, 고독성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반경 1마일(1.6㎞) 이내에 살고 있는 국민이 739만7486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2012년 경북 구미에서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 때 반경 2㎞까지 식물이 영향을 받은 점, 외국에서 1마일을 기준으로 물질 배출조사를 한다는 점을 고려해 1마일을 기준으로 삼았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1급 발암성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벤젠,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등 고독성물질을 다루는 사업장으로부터 반경 1마일 이내에 사는 위험인구는 경기도에 213만354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천 117만7335명, 대구 66만2954명 등이었다. 서울의 경우 16만7514명이 위험인구였다. 제주도는 2802명으로 가장 적었다.

총 인구수 대비 사업장 반경 1마일 이내에 거주하는 비율로 보면 인천이 42.0%로 가장 높았다. 대구(26.4%) 경남(19.5%) 충북(18.5%)이 뒤를 이었다. 서울(1.6%)과 제주도(0.5%)가 하위권을 이뤘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의 ‘2014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고독성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된 사업장 1314곳의 주변 주민과 유치원·학교의 수를 바탕으로 인구를 계산했다. 인구는 2011년 9월 통계를 활용했다. 강 의원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발암물질 전국지도’도 만들어 발표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