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쏜 총탄 흔적 등 5·18유적의 원형복원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이다.
5·18기념재단과 5월 단체는 27일 각 사회단체, 종교·노동계·지방의회 등 380여개 단체가 참여한 범시민대책위를 공식 출범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5·18재단은 이날 “5·18 최후 항전지이자 시민군이 본부로 사용한 옛 도청의 원형복원을 광주공동체 차원에서 추진하기 위해 범시민대책위를 꾸리게 됐다”고 밝혔다.
5·18재단은 옛 도청을 대부분 허물고 지난해 11월 개원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본관 건물을 민주평화교류원으로 재단장하는 과정에서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현장이 크게 훼손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계엄군에 맞선 시민군이 상황실과 방송실로 삼았던 본관 1층에 예술품 전시공간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당시 참상을 증언할 건물 내·외부 총탄 흔적이 감쪽같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5월 단체들은 “국책사업으로 들어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5·18흔적을 애써 지우려 한다”며 문화전당 앞에서 20일째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문화전당 측은 “옛 도청 건물을 민주평화교류원으로 개조하는 공사를 이미 마쳤고 그동안 숱한 협의 과정도 무시하는 일방적 요구”라며 “탄흔을 살리기 위해 공사를 다시 할 수는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국과수는 문화전당이 의뢰한 감정보고서에서 “옛 도청 건물의 제한된 부분에서 일상적 손상과 다소 상이한 흔적이 식별되지만 두터운 도색으로 인해 탄흔 여부를 특정할 수 없는 상태”라며 “석고보드와 수성페인트 등 마감재를 완전 철거한 후 조사한다면 정확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문화전당 측은 “마감재를 뜯어내고 페인트를 벗겨낸다고 해도 그날로부터 36년이나 흘렀는데 탄흔을 찾기도 보존하기도 어렵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전당 개원 이후 1년 가까이 주요시설 5곳 가운데 유일하게 문을 열지 못해온 민주평화교류원의 개관은 향후에도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앞서 5·18재단과 문화전당 측은 옛 도청 별관 등의 보존범위를 놓고 수년간 이견을 좁히지 못해 문화전당 신축 공사가 장기간 차질을 빚은 바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5·18유적지 원형복원 갈등 장기화
입력 2016-09-26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