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의 최대 격전지 북부 알레포가 다시 피로 물들고 있다. 무차별 공습으로 100명 가까운 민간인이 숨졌다. 급수시설이 파괴되면서 상수도 공급마저 끊겼다. 지상군을 투입해 주변 지역을 장악한 시리아 정부군은 조만간 알레포로 진격할 방침이어서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달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를 개최하는 등 규탄에 나섰다.
24일(현지시간) 영국 인권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SOHR)에 따르면 이틀 밤낮으로 알레포를 뒤덮은 공습으로 최소 85명이 사망했다. 사망자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무너진 건물 잔해에 100여명이 파묻혀 있다고 알레포미디어센터(AMC)는 전했다. 1주일의 짧은 휴전이 끝난 뒤 정부군이 탈환 작전을 개시하면서 알레포는 폐허로 변하고 있다.
공습뿐만 아니다. 시리아 정부는 지상군을 투입해 알레포 북부 한다라트 지역을 탈환했다. 반군이 장악해온 이 지역은 주요 보급로가 이어져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정부군의 알레포 진격이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다 식수난까지 겹쳤다. 유니세프(UNICEF)는 공습으로 알레포 동부 반군 점령지에 위치한 바브 알나이라브 급수시설이 파괴되면서 주민 200만명이 상수도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니세프는 “우물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처지”라며 “상수도가 끊기면서 수인성 질환이 창궐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민간인 사망이 잇따르자 국제사회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오싹한 군사행동에 ‘질겁했다(appalled)’”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어 “시리아 내전 발발 이래 가장 지속적이고 극심한 공습이 벌어지고 있다”며 “인구 밀집 지역에 살상 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전쟁 범죄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무차별 폭격을 내버려둘 수 없다는 국제사회의 입장을 시리아 정부에 분명히 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는 긴급회의를 소집해 시리아 사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신훈 기자
시리아 정부군, 알레포 무차별 공습… 100명 사망
입력 2016-09-25 18:34 수정 2016-09-25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