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군 당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지역으로 사실상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으로 결론짓고 이달 안에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25일 “한·미 양국 공동실무단의 제3후보지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를 포함한 종합적인 부지선정 조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이번 주 내 최종 배치 지역 발표가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26일 국방부와 27일 합동참모본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마무리된 뒤 발표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양국 공동실무단은 지난달 말부터 성주골프장과 성주군 금수면 염속산, 수륜면 까치산 등 3곳에 대해 작전운용성과 주민·장비·비행안전, 기반시설체계운용, 경계보안, 배치기간, 공사비용 등 6가지 기준을 적용해 조사해 왔다. 공동실무단은 롯데그룹 소유 성주골프장이 사드 배치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주골프장은 해발고도 680m에 자리 잡고 있어 기존에 발표됐던 성산포대(해발고도 383m)보다 사드 레이더의 안전성 논란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 민가도 성산포대 인근보다 적다. 인구 밀집지역은 성주골프장에서 5㎞ 떨어져 있다. 진입로를 새로 개척해야 하는 염속산이나 까치산에 비해 진입로가 이미 갖춰져 있고 클럽하우스 등 기존 건물들을 활용할 수 있다. 사드 레이더와 포대가 충분한 작전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을 만큼 면적도 넓다. 일각에서는 성주골프장이 군으로서는 선택할 수 있는 최고의 지역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장애물이 적지 않다. 우선 주민 반발이다. 성주군민들은 자신들이 요구한 제3의 부지가 선정된 것에 대해 만족하겠지만 성주골프장과 가까운 김천시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천에서는 “배치되는 곳은 행정구역상 성주군이지만 피해는 고스란히 김천시가 받게 된다”며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천주민대표단은 지난 1일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면담할 때 성주골프장에 사드를 배치하는 방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성주골프장을 소유하고 있는 롯데그룹이 매각할 것인지도 현재는 불투명하다. 롯데 측이 매각키로 해도 1000억원 정도로 예상되는 매입비용 조성 또한 난제다. 추가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발사로 야당이 사드 배치를 반대하기 힘든 분위기로 보고 있지만 원만한 협조를 기대할 수는 없다. 국방부는 군이 소유한 토지와 성주골프장을 맞바꾸는 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사드 배치지역 주중 발표… 성주골프장 사실상 낙점
입력 2016-09-26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