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맞춤형 보육’을 시행한 지 두 달 만에 종일반만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오히려 1000곳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0∼2세 자녀를 대상으로 필요한 시간(하루 6시간가량)에만 어린이집을 이용하도록 하겠다는 정부 정책의 취지가 무색하다.
22일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맞춤반’ 없이 종일반만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지난달 말 기준 4489곳으로 집계됐다. 맞춤형 보육 시행 전인 지난 6월(3373곳)보다 1116곳 증가했다.
100% 종일반 운영 어린이집은 가정어린이집이 2454곳으로 가장 많았다. 또 민간어린이집 1075곳, 국공립어린이집 422곳,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 215곳, 직장어린이집 176곳 등이었다. 종일반 100%로 신규 개원한 어린이집도 24곳이나 있었다.
또 7월 대비 8월 긴급보육바우처(월 15시간)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긴급바우처를 이용한 아동은 1만6239명 줄었으나 시간은 1.6시간이 늘어난 평균 13.2시간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종일반을 부추기는 행위가 있는지는 지속적으로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민태원 기자
맞춤형 보육 시행 두 달… 종일반 100% 어린이집 되레 1000여곳 늘어
입력 2016-09-22 18:22 수정 2016-09-22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