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 파손 신고 2000건… 경주 한옥 지진 직격탄

입력 2016-09-21 18:37 수정 2016-09-21 19:45
잇단 지진으로 경북 경주시 황남동 사정경로당 기와 지붕이 파손돼 21일 인부들이 지붕 보수작업을 하고 있다. 경주에는 지난 12일 강진 이후 400여 차례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뉴시스

경북 경주시는 강진과 계속되는 여진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다. 특히 경주에 밀집된 한옥은 지진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어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21일 경북도와 경주시에 따르면 지금까지 경주를 포함한 경북지역 지진 관련 사유시설 피해 신고 건수는 4172건이다. 이 중 경주 내 신고가 3810건이다. 한옥과 관련된 기와탈락 신고는 2002건(경주 1867건), 벽체균열은 1114건(경주 1011건), 담장파손은 732건(경주 702건)이다. 중복 신고 등을 고려하면 한옥 피해가 2000여건에 이르고 수리·보수에만 수십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경북도는 추정하고 있다.

경주시 황남동 한옥마을은 3317가구 가운데 670가구가 벽체균열, 기와탈락 등의 피해를 입었다. 기와를 수리하는 작업자들은 황남동 한옥 지붕을 수리하는데 최소 6개월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한옥 건축물은 전통건축양식을 채택해 기둥이 얇고 지붕은 무거운 구조라 지진에 취약한 편이다. 유독 한옥이 많은 경주의 한옥 2000여 채가 이번 지진으로 큰 피해를 본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보상이 쉽지 않다. 한옥의 경우 현재 규정에 전파(全破·3000만원)와 반파(半破·1500만원)만 보상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지진으로 피해가 접수된 대부분의 한옥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 소파(小破) 피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번에 정부와 합동으로 피해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한옥 소파에 대한 피해 보상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한옥에 대한 보상이 보다 쉬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지진 피해가 잇따르자 지자체들의 지진 대책에 대한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경북도에 이어 대구시도 이달 중으로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진 자문단 만들어 지역 상황에 맞는 중·단기 지진 대책 마련하기로 했다. 또 처음으로 별도의 지진예산을 마련해 내년도 사업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영남권 이외에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지자체들도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는 지진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