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靑 ‘지하벙커’ 2배로 넓혔다

입력 2016-09-22 00:01
청와대가 ‘지하 벙커’로 불리는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상황실 사무실을 올 들어 2배가량 확장하는 등 시설을 개보수한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위기관리상황실은 박근혜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주재하고, 남북 대화를 수시로 컨트롤하는 곳이다.

청와대는 24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지난해부터 위기관리상황실 개보수를 시작해 수개월 전 내부 공사를 마쳤다. 회의 장소는 당초 면적이 132㎡(약 40평)에 불과해 NSC 등을 개최하기엔 협소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시설 개보수 이후 상황실 사무실은 260㎡(약 80평) 정도로 종전보다 2배가량 늘어났다. 기존의 영상 및 교신시설, 정보체계망 등도 첨단시설을 추가로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용 테이블 역시 당초 딱딱한 마름모형에서 부드러운 반원탁 형태로 바뀌고 정면에는 대형 스크린도 추가 설치됐다.

지하 벙커는 박정희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전시 또는 유사시 대피시설 용도로 청와대 비서동 지하에 설치됐다. 핵무기 공격에도 버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동안 활용도가 떨어졌으나 2003년 노무현정부가 미국 백악관 지하의 비상작전센터와 상황실 등을 본떠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하면서 최첨단 통신·영상시설을 갖추게 됐다. 군·경찰 등 지휘부와의 교신은 물론 한반도 일대 항공 및 선박 등과도 통신할 수 있는 첨단 시스템이 마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판문점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남북 접촉 등 회담 상황을 실시간으로 스크린하면서 수시로 지시를 내릴 수도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