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취업 바늘구멍… 2곳 중 1곳 “올 채용 줄 듯”

입력 2016-09-22 00:05

올해 대기업 취업은 지난해보다 더욱 바늘구멍이 될 것 같다. 대기업 2곳 중 1곳의 올해 신규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또 청년실업 해소 차원에서 정부가 추진한 상생고용지원제도가 대기업의 85%가량이 외면하면서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2016년 500대 기업 신규채용 계획’(210곳 응답) 조사 결과 올해 신입과 경력을 포함한 신규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비중이 48.6%라고 21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늘릴 것이란 대답은 11.4%에 그쳤으며 ‘비슷하다’가 40.0%였다.

지난해 같은 조사와 비교하면 채용 규모가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2015년 35.8%에서 무려 12.8% 포인트 급증했다.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반대로 8.2% 포인트 줄었다.

대졸자로 국한할 경우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대졸 신입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답변(44.3%)이 증가할 것(10.5%)이라는 응답의 4배를 웃돌았다.

신규채용을 축소하는 이유로는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서’가 52.0%로 과반에 달해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기업의 채용 여력이 둔화됐음을 보여줬다. ‘회사 내부 상황이 어려워서’가 32.4%였으며 ‘정년연장으로 퇴직자가 줄었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9.8%로 뒤를 이었다.

정부가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도입한 ‘세대 간 상생고용지원제도’는 대부분 대기업으로부터 외면당해 사실상 탁상행정의 산물임을 보여줬다. 상생고용지원제는 임금피크제 도입, 성과중심형 임금체계 개편, 임금격차 완화를 통해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채용한 기업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재원이 고용보험료로 충당되는 데다 임금피크제 지원금 제도와 중복된다는 지적이 많아 도입 때부터 실효성을 의심받아왔다.

이번 조사에서 상생고용지원제도를 이용했는지 여부에 대해 응답 대기업의 85.2%가 ‘이용하지 않았다(못했다)’고 했고, 이용했다는 고작 6.2%였다.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 ‘자격요건·관리절차가 복잡해 신청을 포기했다’가 31.3%로 가장 많았으며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임금체계 개편을 실시하지 못해서’(27.4%), ‘지원금이 적어 신규채용을 늘리기 어려워서’(15.6%)가 뒤를 이었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올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중국 경기둔화 등 국내외 악재로 고용문제가 어려워질 것 같다”며 “정부는 청년고용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