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떠도는 한진해운 35척 회항 중 부산항 유턴화물 처리 비상

입력 2016-09-21 18:38
부산항에 한진해운 소속 ‘유턴 화물’ 처리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부산시민비상대책위가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항발전협의회 등 24개 시민·해운단체로 구성된 ‘한진해운살리기 부산시민비대위’(공동대표 박인호)는 21일 중앙동 마린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한진해운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며 “정부가 국민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등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비대위는 성명에서 “이번 사태를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할 경우 물류대란에 그치지 않고 국가경제 붕괴로 이어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국가기간산업의 큰 축인 한진해운이 국민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이 이날 긴급 성명서를 발표한 것은 부산항에서 한진해운 소속 ‘유턴 화물’ 처리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부산해양청과 부산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를 떠돌고 있는 한진해운 컨테이너 규모는 33만7000TEU(1TEU는 6m 컨테이너 1개)로, 이 중 12만TEU를 실은 선박 35척이 부산항과 광양항으로 회항 중이다.

35척의 선박 중 다음 달 6일까지 부산항에 입항을 통보한 선박은 모두 27척이다. 이 중 7척이 부산항 인근 바다에 대기하고 있고 나머지는 남해안과 제주도 등지에 머물고 있다. 문제는 이들 물량이 몰릴 경우 체납된 하역·환적 등의 비용 처리다. 부산항의 하역·운송·보관업체 등과 협상이 타결돼야 화물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대위는 23일 부산역 광장에서 시민단체와 해운업계 관계자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진해운살리기 부산시민 촛불집회’를 열기로 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