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읽기, 참고서 활용 하세요

입력 2016-09-21 19:18
성경통독과 QT를 하는 신자들이 많아지면서 참고서적들이 속속 출간되고 있다. 참고서들은 성경 이해의 폭을 넓히고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국민일보DB
가을이다.

성경을 더 많이, 그리고 깊게 읽을 시간이다. 다음 달이면 종교개혁 499주년을 맞는다. ‘오직 성경으로’는 구호가 아니라 삶이어야 한다. 성경은 읽기만 한다고 모두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구절이 많다. 이럴 때 참고서가 필요하다. 성경을 여러 차례 읽었거나 큐티(QT·말씀묵상)에 익숙한 성도들이라면 참고용 도서 하나씩은 갖췄을 것이다.

성경사전이나 핸드북, 주석서 등이다. 풍성한 성경 읽기를 도와줄 참고 서적들이 속속 출간됐다.

성경을 문학 장르로 읽는다

미국 일리노이주 휘튼대 총장과 그의 부친 성(姓)을 딴 ‘라이켄 성경 핸드북’(아가페북스)은 문학 장르에 맞춘 해석 지침서를 표방한다. 기존 성경핸드북이 성경의 배경 정보를 설명하거나 내용 요약에 치중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성경은 내러티브(이야기)와 시문학 환상 족보 노래 등의 장르로 가득하다. 책은 장르를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성경을 읽으라고 권면한다. 책 저자들은 “성경을 읽을 때 장르를 알고 적용한다면 그 구절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문학 장르들은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나름대로의 방식이 있으며 해석의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러티브는 성경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장르 형식이다. 이야기는 문학 장치들을 내포한다. 장면 플롯 관점 인물성격 배경 대화 등이다. 성경의 다양한 내러티브에서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주어진 이야기가 어떠한 것을 보여주려는 예화’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저자들은 조언한다.

시(詩)는 어떤가. 성경 3분의 1은 시로 구성돼 있다. 이미지와 은유, 비유는 성경 곳곳에서 발견된다. 시는 시로 읽어야 한다. 에스겔이나 요한계시록은 환상이 대부분이다. 환상은 판타지다. 판타지는 실제 삶의 완전한 역전이나 기이한 배경, 비현실적 사건 등이 특징을 이룬다.

책은 성경 66권에 대한 개요와 특징, 문학 형식, 장소와 등장인물, 주요교리, 내용 분석, 적용 등을 꼼꼼하게 제시한다. 각 장 말미에 배치된 전문 신학자들의 관점도 참조할 만하다. 성경 본문을 먼저 읽고 참조하면 도움이 된다.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

‘김구원 교수의 구약 꿀팁’(홍성사)은 성경을 읽다가 궁금해졌지만 뾰족한 답을 찾을 수 없었던 문제들을 쉽게 정리한 책이다. 희한하게도 독자들이 전문가에게 물어보고 싶은 것만 골랐다. 예를 들어 블레셋 민족을 설명한 부분을 보자. 성도들 중에는 블레셋 사람들의 후손이 지금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개신대학원대 구약학 교수인 저자의 답은 이렇다.

고대 블레셋 사람들은 에게해 연안에서 가나안으로 이민해 온 그리스 사람들이고, 현대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오스만 투르크 제국 이후 이스라엘 땅에 살고 있는 아랍인들을 의미한다. 이들 아랍인들을 ‘팔레스타인 사람’으로 부르는 이유는 BC 132년 로마가 이스라엘 땅을 팔레스타인으로 명명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이후 팔레스타인은 이 지역에 대한 공식 명칭이 됐다. 따라서 현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적대관계를 성경의 이스라엘과 블레셋의 적대관계로 이해하는 것은 전혀 옳지 않다.

사사기에 등장하는 ‘기드온의 병사 300명’은 정말 용사였을까. 그렇지 않았다. 우선 이들이 최종 선발된 기준은 물을 개처럼 핥아서였다. 하나님은 ‘짐승 같은’ 사람을 뽑으셨다. 다시 말해 부족한 사람들을 택하신 것이다. 당연히(?) 성경에는 그들의 업적에 대한 기록도 없다. 용사들은 그저 횃불을 항아리에 숨겨 목청껏 외친 것이 고작이다. 칼이나 창 한 번 쓰지 않았다. 진정한 용사는 하나님이었다.

이 밖에 ‘홍수 이전 사람들이 900세 이상 살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무엘 선지자는 자녀 교육에 실패했나요’ ‘할례는 이스라엘의 고유한 관습인가요’ 등 40개 질문과 답변을 실었다. 출판사 측은 ‘신약 꿀팁’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