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 무료 티켓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개막을 9일 앞둔 전주세계소리축제가 그동안 고위 공직자 등에게 보내던 초대권 관행을 대폭 축소했다. 김영란법(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때문이다. 오는 28일 김영란법 전면 시행으로 문화계에도 적잖은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그 다음 날 잔치를 여는 전주소리축제가 그 본보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사)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그동안 축제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ID카드(신분증명서) 발급 대상자를 대부분 줄였다.
조직위는 먼저 지방자치 단체장은 물론 의원, 공무원, 관립 예술단 등에게 보내주던 ID카드를 모두 없앴다. 기자들에게는 취재카드를 발급하되 사진 촬영과 합계 5만원 이하의 입장만 허용했다. 단 개인 아티스트와 자원봉사자들에게는 할인 혜택을 주기로 했다.
또 조직위는 개막공연 뒤 리셉션(뒷풀이) 일정도 전격 취소했다. 조직위는 당초 5만원으로 책정했던 개막공연의 입장료를 2만원으로 내렸다. 개막공연에 한해 참석이 가능한 기관장 등에게만 1인당 2장(4만원)의 초대권을 보내기로 했다.
조직위 관계자는 “김영란법이 시행된 뒤 바로 다음 날 시작하는 이번 축제에 안팎으로 관심이 쏟아지고 있어 부담이 크다”며 “행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어적인 운용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방침은 뒤따를 김제지평선축제와 전주비빔밥축제 등 전북지역 축제는 물론 전국의 축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주세계소리축제’ 무료 티켓 축소… 김영란법 시행 다음날 개막 부담감
입력 2016-09-20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