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 인상 조짐에… 고정금리 대출 절반 넘어서

입력 2016-09-20 17:26
국내 예금은행의 가계 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국내 금리가 오를 것으로 판단하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에서도 금리 인상에 대비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때 고정금리 선택비중은 7월 50.3%를 기록해 변동금리 49.7%를 앞질렀다. 지난해 3월 고정금리 채택 비율이 55.1%를 기록한 이후 줄곧 변동금리가 더 많았는데, 1년4개월 만에 재역전된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 인상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국내 금리가 바닥에 이른 것 아니냐는 인식이 모아진 결과”라고 해석했다.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를 위해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확대하려는 정부 지침이 일부 효과를 내기도 했다. 정부는 가계대출의 대부분인 주택담보대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분할상환 비중은 45%로, 잔액기준 고정금리 비율은 40%로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했다.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은 22일 새벽 3시쯤 발표될 예정이다. 이달보다는 12월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많다. 역대 미 금리 변화에 따른 신흥국 경제 파장을 연구해온 경희대 무역학과 박하일 교수는 19일 한은 강연에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서 0.25% 포인트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에선 일주일 후 주가가 1% 정도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의 금리 인하 때는 한국 증시가 0.6% 상승하는 데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도 금리 인상 때 더욱 강한 상승 압력을 받았다고 했다.

반면 한은의 금리는 미 연준의 금리와 꼭 연동되지 않았다. 박 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해당국이 인플레이션과 자본유출 우려가 있으면 금리를 올리는 것이고, 반대로 수출이 줄고 주가가 떨어지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라며 “신흥국 금리의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