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게 밀려오고 있다. 지난 1월 스위스서 열린 다보스 포럼 주제로 ‘4차 산업혁명의 이해’가 채택되는 등 선진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관심이 폭발적이다. 지금까지의 산업혁명 발전 요인이 동력과 자동화, 디지털이었다면 4차 산업혁명 융성의 기반은 융복합이다. 단순히 단일 기술의 진보가 아니라 맥락을 연결하는 네트워크가 핵심이다. 사람과 사물, 공간을 연결하고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초지능 혁명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지식과 아이디어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고 창조와 혁신이 상시적 키워드가 되는 세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팅, 로봇공학, 인공지능(AI) 등 우리 주변엔 이미 4차 산업혁명의 성과가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4차 산업혁명은 산업 전반을 재편한다. 다보스 포럼에 따르면 2020년까지 현재의 일자리 710만개가 사라지고 200만개가 창출된다고 한다. 김도연 포항공과대(포스텍) 총장은 20일 ‘4차 산업혁명, 우리의 준비는’이란 주제의 한 강연에서 “전 세계 7세 이하 어린이들이 앞으로 사회에 나가 직업을 선택할 때가 되면 65%는 지금은 없는 직업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업의 전면적 변화도 불가피하다. 금융서비스 전 영역의 지도가 새롭게 그려지면서 금융 빅뱅 시대가 다가왔다. 로봇이 금융상품을 어디에 투자할지 추천하는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가 도입됐고 고객들은 은행 창구에 가지 않고 홍채나 지문 같은 생체정보를 활용해 금융서비스를 경험한다.
격랑처럼 닥친 4차 산업혁명은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쓴맛을 볼 수밖에 없다.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은 4차 산업혁명을 국가 어젠다로 설정,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여러모로 소홀하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국제경제 리뷰를 통해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순위를 발표하면서 한국을 중국과 비슷한 수준인 25위로 꼽았다. 선진국에 비해 한참 처진 등위다. 우리 정부도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신산업 육성 중심의 투자 활성화’ 등 거창한 프로젝트를 잇따라 발표했지만 내실이 뒤따르지 않는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국민일보는 오늘 ‘2016 국민미래포럼’을 열어 4차 산업혁명 변화의 현장을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정보통신기술(ICT)과 금융·제조업 융복합의 미래’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이 해법을 내놓는다. 특히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기조강연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동태적(Dynamic) 사고에 바탕을 둔 국가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금처럼 정부가 칸막이와 수직적 지배구조로 산업 생태계를 장악하는 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없다는 그의 진단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사설] 4차 산업혁명 성공 국가시스템 유연성 제고에 달렸다
입력 2016-09-20 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