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61) 롯데그룹 회장이 20일 검찰에 소환되며 롯데그룹 수사가 마지막 고비에 다다랐다. 하지만 롯데그룹 수사 초기 제기됐던 일부 의혹은 수사에 착수하지도 못했거나 일부 수사는 중단됐다. ‘반쪽짜리 수사’라는 비판마저 나온다.
검찰 관계자는 19일 “신 회장 사법처리 이후 10월 국정감사 전에는 수사가 마무리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 6월 10일 롯데그룹 수사에 착수해 롯데그룹의 비자금 조성 및 소송사기 의혹과 총수 일가의 탈세 혐의 등을 밝혀내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일부 의혹은 여전히 의혹들로만 남아 있는 상태다. 롯데그룹이 서울 잠실에 건설 중인 ‘제2롯데월드’는 수사 시작부터 의혹의 핵심으로 지목됐다. 2009년 신축이 시작된 이 건물의 인허가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주로 이명박(MB)정부 관계자들이 롯데그룹의 로비를 받고 편의를 봐줬다는 의혹들이다. 그러나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제2롯데월드 인허가 관련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수사에 착수할 만한 물증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선을 그었다. 제2롯데월드 건설을 주도한 롯데물산에 대한 압수수색도 하지 않았다. 결국 정·관계 로비의혹은 수사에서 완전히 배제됐다.
검찰은 롯데홈쇼핑이 지난해 채널 재승인 심사 때 비자금을 조성해 관련 부처 공무원 로비에 사용한 단서도 포착했다. 그러나 강현구(56) 롯데홈쇼핑 사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기각되며 수사가 사실상 중단됐다. 검찰은 이날 강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했지만, 비자금 수사가 정·관계 로비수사까지 확대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다.
롯데그룹의 비자금 조성과정 및 사용처 수사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검찰은 수사 초반 롯데그룹 핵심조직인 정책본부가 계열사를 이용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각종 로비에 자금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큰 그림을 그렸다. 롯데건설이 조성한 수백억원대 비자금도 그룹의 핵심 조직인 정책본부로 흘러갔을 것으로 의심했다. 그러나 수사팀은 정책본부의 개입 증거확보나 비자금 사용처 규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케미칼이 해외에서 원료를 수입하는 과정에 일본 롯데물산을 끼워 넣어 수백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도 묻힐 가능성이 높다. 일본 롯데물산이 검찰의 자료 제출 요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검찰 관계자는 “롯데그룹 수사를 비자금 수사로만 한정해서 보는 것은 좁게 보는 것”이라며 “이 수사는 롯데그룹 비리 전반에 대한 수사”라고 해명했다.
이외에도 신격호(94) 총괄회장이 셋째부인 서미경(56)씨에게 일본 롯데홀딩스 주식을 증여하는 과정에서 수천억원대의 세금을 포탈했다는 의혹도 일본에 머물고 있는 서씨가 귀국을 거부하며 수사가 벽에 부닥쳤다. 검찰은 서씨가 끝내 소환을 거부할 경우 조사 없이 서씨를 재판에 넘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보기]
☞
☞
☞
☞
노용택 황인호 기자 nyt@kmib.co.kr
핵심 의혹 남긴채 매듭 수순… 롯데 수사 ‘무딘 檢’
입력 2016-09-20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