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핵심 사업 집중과 조직개편 차원에서 ASML, 시게이트, 램버스, 샤프 등에 투자한 지분을 일부 혹은 전량 매각했다고 18일 밝혔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매각한 해외 지분은 약 1조원대로 알려졌다. 이 중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업체인 ASML 지분 3% 중 절반인 1.5%(630만주)를 매각한 금액이 6000억∼7000억원대로 가장 큰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2012년 반도체 공정의 핵심 장비인 차세대 노광기 개발 협력을 위해 ASML 지분 일부를 인수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일부 투자 회수 차원에서 지분 절반을 매각하 것이며, 핵심 설비의 파트너로서 ASML과의 협력 관계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2013년 LCD 패널 공급처를 다양화하는 차원에서 투자했던 일본 샤프 지분 0.7%(3580만주)는 전량 매각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언론은 삼성전자가 투자금의 절반도 회수하지 못했다며 중국 폭스콘이 샤프를 인수한 점을 배경으로 들었다. 폭스콘은 애플의 대표적인 부품 업체다.
삼성전자는 미국의 스토리지(HDD) 전문 기업인 시게이트(Seagate Technology)와 반도체 설계 업체인 램버스(Rambus) 지분도 전량 매각했다. 삼성전자는 2011년 HDD 사업을 시게이트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시게이트 지분 일부를 취득했다. 이후 지분을 일부 매각했고 이번에 잔여 지분(4.2%, 1250만주)도 모두 매각했다.
램버스 지분 4.5%(480만주) 전량 매각도 시게이트 지분 처리와 유사하다. 삼성전자는 2010년 특허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램버스 지분 9%를 취득했다. 이후 2011년 풋옵션으로 램버스에 지분 4.5%를 매각한 뒤 최근 잔여 지분을 팔아치운 것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프린트 사업을 미국 HP에 매각키로 하는 등 사업 전반에서 선택과 집중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와 관련, “과거에 투자한 자산을 효율화해 핵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것”이라며 “통상적인 경영 활동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삼성전자, 1조원대 해외 지분 매각
입력 2016-09-18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