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을 어찌할꼬… 朴대통령, 연휴내내 대응 고심

입력 2016-09-19 00:01

박근혜(얼굴) 대통령은 지난 14일부터 시작된 추석 연휴 기간 공식 일정 없이 청와대 관저에 머물렀다. 이 기간 박 대통령은 북한 5차 핵실험에 따른 한반도 안보위기 상황을 점검하고 해법 마련을 고심했다고 한다. 앞으로 박 대통령의 행보도 당분간 최우선적으로 북핵 대응에 맞춰질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얘기다.

박 대통령은 일단 대외적으로는 미국 일본과 대북 압박 공조를 강화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의 더욱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두루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 초 미·중·일·러 등 주요국과의 연쇄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북핵·북한 문제 등을 다시 한번 상기하고 다잡는 차원이다. 아울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새로운 대북결의 채택을 비롯해 전방위적인 대북 제재·압박 수위를 강화하는 데도 외교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내부적으론 국민적 단합을 지속적으로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핵실험 이후 초당적 협력과 국민적 단합을 계속 강조해온 박 대통령은 오는 22일 주재하는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위기 극복을 위한 일치된 단합을 거듭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수석비서관회의는 통상적으로 월요일 열리지만 이번 주는 여러 사정을 감안해 목요일 개최된다. 박 대통령의 준(準)국가비상사태 근무 지시에 따라 청와대도 연휴 기간 내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중심으로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했다.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논란의 초점으로 다시 부각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거취에 대한 박 대통령의 대응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우 수석이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된 만큼 그의 출석 여부가 여야의 또 다른 갈등 요인으로 부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12일 여야 대표 회동에서 검찰 특별수사팀의 수사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상태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번 추석 연휴 기간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선친 박정희 전 대통령과 모친 육영수 여사의 묘소에 성묘했다. 박 대통령은 취임 후 지난해를 제외하곤 매년 추석 연휴에 최소한의 수행원만 대동하고 조용히 현충원을 방문해 왔다.남혁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