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잉원(사진) 대만 총통이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겠다며 의욕적으로 추진한 ‘신남향 정책’이 시작부터 흔들리고 있다.
대만 여행업계와 13개 관련단체 소속 2만여명은 12일 타이베이 총통부 앞에서 관광버스 200여대를 동원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반중(反中) 노선의 차이잉원 정권 출범 이후 급감한 중국 관광객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지난 5월 차이 총통 취임 이후 중국 관광객은 무려 22% 감소해 대만 여행업계는 생존에 위협을 느끼는 상황이다.
차이 총통에게 ‘92공식’(하나의 중국을 인정키로 한 중국과 대만의 합의)을 인정하라고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차이 총통은 92공식을 인정하지 않고 현상유지 정책을 펴고 있다. 이에 중국은 교류중단 등 엄포를 놓고 있다.
대만 정부는 경제발전 장기 프로젝트인 신남향 정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키로 하고 최근 세부계획을 공개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10개국, 인도 등 남아시아 6개국, 호주 뉴질랜드 등 모두 18개국과의 무역·투자 확대로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내용이다. 신남향 정책에는 내년에만 예산 42억 대만달러(약 1470억원)가 투입된다. 대만 정부는 우위를 보이는 의료·전자 산업 교류를 확대해 중국과의 교역 감소로 인한 경제적 난관을 돌파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회의적인 시각이 고개를 들고 있다. 대부분 신남향 정책 대상 국가가 중국의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바라기 때문에 중국 정부의 압력에 휘둘릴 가능성이 크다. 여행업계 시위 사태에서 보듯 대만 국민이 성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느냐도 어려운 문제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유커란 암초 만난 차이잉원의 新남향정책
입력 2016-09-13 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