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환, 민유성 친분 내세워 갑질 로비

입력 2016-09-12 17:57 수정 2016-09-12 21:33

박수환(58·여·사진) 뉴스커뮤니케이션즈(뉴스컴) 대표는 민유성(62) 전 산업은행장과의 친분을 앞세워 산업은행에 을(乙) 입장인 기업들의 약점을 쥐고 막대한 뒷돈을 챙겨온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업체들은 박 대표의 화려한 정·관계 인맥이 두려워 성과를 얻지 못해도 제대로 된 항의조차 하지 못했다.

2009년 1월 임기를 보름 정도 앞두고 재임에 목맸던 남상태(66·구속 기소)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민 전 은행장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박 대표에게 연임 로비를 부탁하며 거액의 성공보수를 약속했다. 박 대표는 이후 남 전 사장에게 여러 차례 로비 진행 상황을 전달했다.

박 전 대표는 2009년 2월 남 전 사장 연임이 확정되자 20억원을 성공보수로 요구했다. 남 전 사장은 박 대표가 세금을 내고도 20억원을 받을 수 있도록 착수금 5억원과 매월 4000만원을 재임기간인 36개월에 맞춰서 지급하는 내용의 컨설팅 계약을 채결했다. 남 전 사장 재임기간 뉴스컴에는 세금까지 더해 총 21억3400만원이 건네졌다. 그러나 뉴스컴이 대우조선에 제공한 홍보 용역 서비스는 언론기사 스크랩 자료 수준에 불과했다. 대우조선 홍보팀 관계자들은 “뉴스컴이 보내온 자료는 읽어보지도 않았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박 대표는 또 2009년 4월 유동성 위기에 처해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약정 양해각서(MOU) 체결을 앞둔 금호그룹에도 접근했다. 박 대표는 일면식도 없었던 금호그룹 전략경영본부 사장에게 전화를 걸어 면담 약속을 잡았다. 박 대표는 사장에게 “언론사 기자들에게 물어보라. 나와 민유성 산업은행장의 긴밀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MOU 체결을 면하도록 해주겠다. 30억원을 달라”고 요구했다. 박 대표는 착수금으로 11억원을 받았다. 하지만 11억원을 지급받은 지 20일 만에 MOU 체결이 이뤄졌고, 박 대표는 착수금을 돌려주지 않았다. 금호그룹은 이에 대해 문제 제기조차 하지 못했다.

검찰은 이외에도 박 대표가 재계 문제해결사 역할을 자처하면서 여러 기업의 송사 등에 관여했다고 보고 지난달 31일 KB금융지주, SC제일은행, 동륭실업 등 5개 업체를 추가로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박 대표는 뉴스컴 홍보자료에 언론계 주요 인사, 현직 고위관료, 현직 산업은행장 등 유력인사들의 실명과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기재해 계약 상대 업체에 보여주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시도했다. 때문에 박 대표와 컨설팅 계약을 맺은 기업들은 특별한 성과가 없어도 계약 중단이 힘들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박 대표가 인맥을 활용해 해코지할까 두려웠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 경영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이날 변호사법 및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사기) 혐의를 적용해 박 대표를 구속 기소했다. 범죄수익 환수를 위해 법원에 박 대표의 예금 수십억원과 부동산 등 21억원 상당의 재산을 동결해 달라는 추징보전도 청구했다. 검찰은 조만간 연임 로비 대상으로 지목된 민 전 은행장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