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갑씩 30년 이상 담배를 피운 고위험 흡연자에 대한 무료 폐암 검진이 내년부터 실시된다. 137만명에 달하는 암 생존자에 대한 종합 관리 체계가 구축되고, 소아 호스피스 체계도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12일 국가암관리심의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3차(2016∼2020년) 국가암관리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폐암을 국가 암검진 체계에 포함시키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폐암은 암 사망자 중 가장 높은 비중(22.8%)을 차지하고, 5년 생존율(23.5%) 역시 낮지만 조기 검진에 따른 효과를 입증할 수 없어 국가 암검진 대상(위·간·대장·유방·자궁경부)에서 제외돼 왔다. 하지만 2011년 저선량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한 폐암 검진 시 사망률을 20% 낮출 수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는 등 조기 검진에 따른 효과가 입증됐다.
내년엔 우선 8000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55세 이상 74세 이하로 30갑년 이상 흡연력이 있는 사람이 대상이다. 갑년은 1년간 하루 한 갑씩 흡연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담배 소비량이다. 매일 두 갑씩 15년간 피우거나 매일 세 갑씩 10년간 피워도 검진 대상이 될 수 있다. 지역암센터에서 사전 통보 또는 금연 프로그램 참가자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모집한다.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2018년엔 공공 의료기관, 2019년엔 전체 민간 의료기관으로 사업을 확대한다.
암 생존자 관리를 위한 중장기 정책 로드맵 등도 수립한다. 의료기관 종사자별 교육을 실시하고 인력 양성 단계에 암 생존자 전문교육 과정을 포함시키는 방안도 추진한다. 1000명 내외의 중증 소아청소년 만성 질환자를 위해 소아 호스피스 제공 체계도 마련한다. 표준 모형을 먼저 개발한 뒤 시범사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또 위암, 대장암에 한정된 확진검사 비용지원 대상에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도 포함시키기로 했다. 저소득층 암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도 국가 암검진 수검 여부와 무관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암 발생률 집계도 시·도별 방식에서 시·군·구별로 세분화할 계획이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30년 골초’ 폐암 무료검진
입력 2016-09-12 18:01 수정 2016-09-12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