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시장이 2∼3명이라며?”
광주지역 관가가 2014년 민선6기 출범 이후 어느 때보다 뒤숭숭하다. 윤장현 광주시장의 측근이자 인척이 비리혐의로 사법처리 된 여파가 심상치 않다.
광주지검이 지난 10일 건설사로부터 1억8000만원을 받은 혐의(알선수재 등)로 광주시 전 비전·투자정책자문관 김모(63)씨를 전격 구속하자 시 청사는 벌집 쑤셔놓은 듯 시끌벅적하다.
김씨는 지난해 10월 전남 S건설이 진월동IC 등 2건의 공사를 수주 받도록 도와주고 자문료 명목으로 거액을 받은 혐의가 불거졌다.
김씨는 윤 시장의 이종사촌 매제로 그동안 시청에서 ‘비선 실세’로 불렸다. 그의 동생(58)도 시장 5급 비서관으로 나란히 근무해 김씨 형제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다는 소문이 자자했다. 공무원 승진에도 막강한 ‘뒷심’을 종종 발휘하곤 했다는 것이다.
윤 시장 선거캠프 정책본부장 등을 지낸 김씨는 지난 4∼5월 시 산하 24개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업무컨설팅 과정에서 이권에 직·간접 개입하고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설이 끊이지 않았다. 시장 현직 비서관인 동생을 통해 해당 기관의 가구와 가전제품 납품은 물론 인테리어 공사에까지 폭넓게 손을 뻗쳤다는 것이다. 진월국제테니스장과 염주체육관 리모델링 등 지난해 유니버시아드와 관련된 각종 입찰부터 광주지식센터, 광주이노비즈센터 사무용품의 각종 납품과정 등이다.
광주 모 가구업체 대표 김모(50)씨는 “액수가 많은 것은 정책자문관을 맡은 형이, 적은 것은 비서관인 동생이 공공연히 개입해 이권을 챙긴다고 들었다”며 “시민시장의 부끄러운 민낯을 보는 것 같아 입맛이 개운치 않다”고 말했다.
검찰은 “윤 시장과는 무관한 개인적 비리”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주위의 만류를 뿌리치고 인척 채용을 강행한 윤 시장은 민선 6기 후반기를 이끌고 가는 데 큰 부담을 스스로 떠안게 됐다.
검찰 수사 향배에 따라 김씨의 구속은 향후 ‘비리사슬의 뇌관’이 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윤장현 광주시장 인척채용 유탄 맞나
입력 2016-09-12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