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사진) 충북도지사가 지난 8일 전상헌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이 제출한 사표를 반려했다.
이 지사는 12일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항공정비(MRO)사업 부진에 대한 책임은 청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도지사인 자신에게 있다”며 “청주국제공항 MRO사업에 차질을 빚게 된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도민들에게 송구스럽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지사는 “청주공항 MRO사업은 사업 참여업체인 아시아나항공이 참여를 포기한 것이지 MRO사업 자체가 무산된 것은 아니다”며 “앞으로 청주공항 MRO부지는 MRO를 포함한 항공관련 복합산업체 유치로 그 범위를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지사는 “내부 책임을 논하기 보다는 국가의 확실한 지원대책을 요구하는 도민의 단합된 의지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도민에게 진 빚을 갚을 수 있도록 기회와 채찍을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지사가 전 청장 경질을 사실상 거부하면서 청주공항 MRO사업 조사 특별위원회까지 구성한 도의회와의 갈등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위를 구성한 도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반발하고 있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특위 구성 투표 결과에 불복해 김양희 의장의 불신임 결의안을 이날 도의회 사무처에 제출했다. 의장 불신임 결의안은 도의회 사무처의 심사를 거쳐 본회의에 상정된다.
도의회는 지난 9일 제350회 임시회에서 항공정비산업점검 특위 구성안을 통과시켰다. 특위 임기는 내년 2월 28일까지다. 도가 추진해 온 MRO사업이 좌초된 데 대한 책임 소재를 밝히고 정책 대안을 다룰 예정이다.
도와 경자청은 2014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MOU(업무협약) 파기 이후 아시아나항공과 손잡고 청주공항 인근 경제자유구역(에어로폴리스)에 MRO단지 조성을 추진했으나 아시아나항공은 1년 반 동안 검토만 하다 지난달 26일 사업 철회를 결정했다. 도와 경자청은 청주공항 MRO단지 조성 사업을 위해 그동안 246억원을 들여 토지보상비와 공사비, 설계·감리비 등으로 지출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고개숙인 이시종 충북지사 “MRO사업 차질 제 탓”
입력 2016-09-12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