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폐암도 국가 검진 대상… 암 예방·관리 더욱 강화해야

입력 2016-09-12 17:28
국가의 암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제3차(2016∼2020년) 국가암관리 종합계획이 12일 확정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국가 암검진 대상으로 폐암이 추가되고, 저소득층 암환자는 국가 암 검진 수검 여부와 관계없이 의료비를 지원받게 됐다. 137만명에 이르는 암 생존자들을 돕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권역별 통합센터가 운영된다.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암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차원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다.

눈에 띄는 것은 내년부터 폐암 검진이 도입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5대암만 무료로 검진받았다. 폐암은 암 사망자 중 가장 높은 비중(22.8%)을 차지한다. 환자의 절반 정도가 말기에 발견돼 치료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망률을 낮추려면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30년간 하루 1갑 정도 담배를 피운 만 55∼74세 고위험 흡연군 8000명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을 무료 시행키로 했다. 시범사업이라 규모가 크진 않지만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암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다. 2014년 암 사망자는 무려 7만6000여명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암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치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생존자 수도 늘어나는 추세라는 점이다. 암 진단 후 5년 생존율은 1995년 41.2%에서 2013년 69.4%로 올라갔다. 하지만 이들 생존자도 개인적·사회적으로 각종 어려움에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처럼 암 생존자 관리체계를 대폭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각종 암 예방을 위해 꼭 알아야 할 것은 흡연에 대한 경각심이다. 지난달 말 일본 정부가 내놓은 ‘흡연과 건강영향’ 보고서도 흡연은 7가지 암(폐·구강·인후·식도·위·간·췌장), 뇌졸중, 심근경색, 당뇨병 등 22개 질병과의 인과관계가 확실하다고 강조했다. 건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건 금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