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與, 안보에 초점… 野, 민생·정치도 거론

입력 2016-09-12 00:00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청와대에서 여야 당대표를 만나는 이유는 북핵 대응과 관련해 두 야당의 초당적 협조를 얻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와 야권은 북한의 5차 핵실험으로 인해 한반도 안보가 더욱 불안정해진 상황에서 집안싸움하는 모습을 보여줘서는 안 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안보 문제에 대해선 “초당적 협력을 하겠다”고 대승적 자세를 취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박 대통령이 여야 지도부를 만나는 것은 8번째다. 특히 지난 4월 총선으로 여소야대가 된 이후 박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가 회동하는 것은 처음이다.

그러나 여야의 속내는 확연히 다르다. 새누리당과 청와대는 회동이 북핵 등 안보 문제에 방점이 찍히기를 기대하는 눈치다. 하지만 야당은 ‘안보 플러스 민생 회동’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북핵 문제가 가장 큰 의제지만 사드 배치의 국회 비준 문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거취, 한진해운 사태 등 민감한 현안도 빼놓지는 않겠다는 의도다. 다만 두 야당은 안보 상황을 감안해 수위 조절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청은 민생 현안에 대해서도 야당의 협조를 구할 방침이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1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회동 의제와 관련해 “야당 대표들이 청와대에서 어떤 말을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 답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추미애 더민주 대표는 우상호 원내대표 등과 오찬을 함께하며 회동과 관련해 의견을 조율했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안보 문제에 대해선 초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것이 우리 당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추 대표는 비상 민생경제 문제, 우 수석 거취 등 현안에 대해서도 제한 없이 얘기할 계획이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박 대통령도 할 말을 다 할 것이고, 저도 국민의 소리를 다 말씀드리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와 박 비대위원장은 청와대 회동 직전 의견을 교환해 야당 공조를 시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보기]


하윤해 최승욱 기자 justice@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