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청년·취약·노년층을 위해 6년간 공공임대주택 7만3000여 가구를 공급한다.
부산시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13조원의 국비와 시비, 주택도시기금 등을 투입해 드림아파트와 행복주택, 뉴스테이, 해살둥지, 공공실버주택 등 모두 8종류 7만3000여 가구를 공급한다고 11일 밝혔다.
시의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1980년부터 36년간 공급한 6만7000여 가구보다 많은 것으로, 일자리창출과 저출산 극복 등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한 대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업비는 총 13조원으로 국비와 주택도시기금 8조원과 민간투자 5조원, 시비 250억원 등이다. 시는 사업이 완료되면 공공임대주택 보급 비율을 국내 평균(5.6%)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5%)의 중간인 8.5% 수준까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청년들에게 시세의 80%이하의 임대료로 공급되는 ‘부산드림아파트’는 2만 가구로 4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이 아파트는 신혼부부(결혼 5년 이내)와 사회초년생(취업 5년 이내)에게 우선 공급한다.
대학생과 취약계층을 위한 ‘부산행복주택’은 1만 가구로 1조5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시세의 60∼80% 임대료로 공급된다. 일반서민과 산단근로자 등을 위한 기업형 임대주택(부산형 뉴스테이)은 2만 가구로 4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시세의 80% 이하 임대료로 공급된다.
국내 최초의 공공실버주택은 228억원의 사업비로 200가구를 건립해 시세의 80% 이하로 노인들에게 공급한다. 공공실버주택은 주택과 물리치료실 등 복지시설이 결합한 형태로 건립비와 운영비 전액이 국비로 지원된다.
이밖에 청년들과 서민·중산층 등을 위한 햇살둥지·쉐어하우스·매입전세 임대주택 등은 시세의 20∼30% 또는 반값 수준에 공급하는 것으로 학생과 신혼부부, 저소득 서민 등에게 공급된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시 13조 들여 임대주택 7만 가구 공급
입력 2016-09-11 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