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어느 때보다 더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독자 제재’ 카드까지 꺼내든 일본은 북한 국적자 중 재입국 금지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마이니치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는 9일 “(북한의 핵실험은) 우리나라 안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자 지역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심각히 손상시킨다”며 “결단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지진이 포착된 지 2시간여 만에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정보수집, 국민안전 확보, 주변국과의 협력 강화 등을 지시했다.
아베 총리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도 10여분 전화통화를 갖고 “국제사회가 북한의 행동을 강력 비난하고 어떤 도발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강한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새로운 제재 결의 채택을 촉구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에 동조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외무성도 베이징 주일 대사관을 통해 북한 측에 공식 항의했다.
일본의 독자 제재 방안을 언급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간부 중 입국 금지 대상을 늘릴 계획이다. 조총련에는 북한과 일본을 반복해서 오가는 인물이 상당수다. 이번 조치가 실현되면 조총련 관계자 수백명이 재입국 제재 대상에 추가로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있었던 지난 1월 북한 국적자의 입국 금지를 1년 반 만에 부활시켰다.
일본의 격한 반응은 지난달 24일 북한이 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지난 5일 발사된 중거리 미사일이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 떨어지면서 일본 열도가 북한의 핵무기 사거리에 포함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됐기 때문이다.
러시아도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 “유엔 차원에서 북한 핵실험 문제를 다루겠다”고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관련기사 보기]
日, 北 국적자 재입국 금지 확대
입력 2016-09-10 0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