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9일 북한이 강행한 제5차 핵실험에 대해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규정한 뒤 “권력 유지를 위해 국제사회와 주변국의 어떤 얘기도 듣지 않겠다는 김정은의 정신상태는 통제 불능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오후 라오스에서 귀국한 직후 청와대에서 긴급안보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북한의 핵 위협은 이제 우리에게 급박하게 닥친 현존하는 위협이며, 우리와 국제사회 대응도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리 군은 국민이 우려하지 않도록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강력하게 응징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해 달라”며 “미국의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제능력과 우리 군의 대북응징능력을 강화해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공고히 하기를 바란다”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라오스 현지에서 낮 12시부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15분간 긴급 통화를 했다. 귀국 직후에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유엔 안보리 추가 조치 등에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한·라오스 정상회담과 협정 서명식만 참석한 뒤 나머지 일정은 취소하고 오후 7시30분쯤 조기 귀국했다. 당초 입국시간보다 3시간30분가량 빠른 것이다.
정부는 박 대통령 지시로 오전 11시부터 청와대 위기관리상황실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북한의 이번 핵실험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황 총리는 “북한이 G20과 동아시아정상회의(EAS) 기간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국제사회의 결집된 의지를 거부한 폭거”라고 비판했다.
국제사회도 급박하게 움직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한·미·일 3국의 소집 요청에 따라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후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관련한 추가 제재를 논의했다. 지난 6일 회의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채택한 지 사흘 만이다.
남혁상 정건희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朴대통령 “김정은 정신상태 통제불능 북핵 대응 완전히 달라져야”
입력 2016-09-10 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