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오바마 긴급 통화 “모든 수단 동원 北 압박”

입력 2016-09-10 04:35
박근혜 대통령이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직후 라오스 비엔티안 현지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참모들로부터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 왼쪽부터 윤병세 외교부 장관,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박 대통령. 청와대 제공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 핵 포기 외교를 위해 해외 순방을 나선 상황에서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북한 핵실험 뉴스가 긴급 타전됐을 때 공교롭게 박 대통령과 황교안 국무총리 모두 서울에 없었다. 라오스를 방문 중이던 박 대통령은 일정 일부를 취소하고 예정보다 3시간 정도 일찍 귀국길에 올랐고, 세종시에 있던 황 총리는 헬기를 타고 급히 상경해 대통령 직무대행으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했다.

박 대통령은 귀국 이후 북한 김정은 체제를 향해 더욱 강도 높은 압박 조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9일 오전 라오스에서 북한의 핵실험 소식을 접했다. 이어 오전 11시30분(이하 한국시간) 숙소에서 참모들과 긴급대책회의를 가졌다. 박 대통령은 “김정은 정권이 핵실험을 통해 얻을 것은 국제사회의 더욱 강도 높은 제재와 고립뿐이며 이런 도발은 결국 자멸의 길을 재촉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조기 귀국을 택했다. 정확한 사태 파악과 대응책 마련을 위해선 한시라도 빨리 귀국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한·라오스 정상회담은 그대로 진행했으나 이후 예정됐던 공식 오찬과 한·라오스 비즈니스포럼을 취소했다.

박 대통령은 한·미 양국의 대응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낮 12시부터 15분 동안 버락 오바마(얼굴)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가졌다. 라오스에서 열렸던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했던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의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박 대통령과 통화했다. 양국 정상은 안보리 차원의 새로운 결의 채택을 포함해 가용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더욱 강력히 압박하기로 의견을 같이했다.

박 대통령은 분냥 보라치트 라오스 대통령과 가진 정상회담에서 국제사회의 북한 핵실험에 대한 강력한 대응조치에 라오스도 적극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서울공항으로 귀국한 박 대통령은 곧바로 청와대로 이동해 황 총리와 외교·통일·국방부 장관, 합참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안보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정부도 분주하게 움직였다. 황 총리는 NSC 회의를 이끌었다. 이어 내각에 특별지시를 내리고 “이번 사태로 인해 국민생활과 안전, 그리고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라”고 주문했다. 또 “모든 공무원은 유사시 신속히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대비하라”고 지시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핵실험 직후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했으며 오후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와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 등과 만나 양국 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보기]






글=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