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무기 소형화 기술 빨라… 수소폭탄은 아니다”

입력 2016-09-10 04:10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기술이 우리 군 및 정보 당국의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북한 5차 핵실험은 대외적으로 핵 능력을 강화하고 내부 동요를 차단하려는 의도적 이벤트 목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9일 긴급현안보고를 열고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을 보고받았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정보위 간사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목표는 핵무기를 스커드 미사일에 장착할 정도로 소형화하는 것인데,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을 국정원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4차 핵실험 이후 8개월 만에 또 핵실험을 감행할 정도로 무기 개발 속도가 가파르게 진척되고 있다는 뜻이다. 김 간사는 핵실험 성공 여부에 대해서도 “핵실험 자체에서 이 정도 규모가 터졌다면 실패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6, 7차 핵실험이 언제 일어나도 놀랍지 않다”며 “지금 속도로 보면 내일 터진다고 해도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고 했다. 국정원은 이번 핵실험 종류가 수소폭탄이 아니라고 정보위에 보고했다.

국정원은 다만 북한이 핵무기를 미사일에 탑재할 만큼의 기술 개발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 간사는 “핵무기를 탑재하는 기술, 탑재 후 무기화하는 기술 등은 별개의 문제”라며 “1∼2년 내에 소형화된다고 보이진 않지만 예상보다는 이른 시일 내에 무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증되고 있다”고 말했다.

핵실험에 소요된 비용 역시 과거보다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 간사는 북한의 무기 개발 효용성이 높아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핵실험 도발 징후도 사전에 상당한 경로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번 핵실험이 일어난 구체적 갱도 위치도 정보위에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 이완영 정보위 간사는 북한이 “이번 도발은 (북한) 정권수립일을 맞아 김정은의 강한 지도자상을 부각하려는 의도와 엘리트 탈북 등으로 인한 내부 동요 차단 효과를 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안보 불안감을 조성해 남북 대화 제의를 압박하고, 박근혜 대통령의 국제적 대북제재 공조를 위한 외교활동에 대해서 반발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보고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현안보고에서 북한의 추가 핵실험과 관련해 “또 하나의 갱도에서도 핵실험 준비가 돼 있다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또 북한의 핵 관련 능력에 대해선 “전술적 수준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와 국방위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은 “우리도 핵 보유 등을 통해 선제적 공력능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야당 의원들은 우리나라의 전술핵 보유가 북한 핵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반대했다.

[관련기사 보기]






전웅빈 최승욱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