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은 북한의 핵무기 사용 징후가 명백할 경우 미사일과 특수부대 등을 총동원해 북한의 전쟁 지휘부를 직접 선제공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겨냥한 것이다. 전군은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추가 도발에 대비해 북한군의 동향을 실시간 파악하는 등 대북 감시·경계태세도 강화했다.
임호영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은 9일 오후 국방부에서 브리핑을 갖고 “북한이 핵을 사용할 징후가 확실할 경우 북한의 전쟁지도본부를 포함한 지휘부를 직접 겨냥해 응징·보복하는 대량응징보복(KMPR) 개념을 추가했다”며 “정밀 타격이 가능한 다량의 미사일 등 타격 전력과 정예화된 전담특수작전부대 등을 운용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북핵 위협에 대비한 우리의 독자적인 능력은 기존 ‘킬 체인’(Kill Chain·적 미사일을 실시간으로 탐지해 먼저 타격), 한국형미사일방어(KAMD)에 ‘KMPR’ 개념을 추가한 한국형 3축 체계”이며 “한·미 공동의 맞춤형 억제전략과 동맹의 미사일 대응작전 개념을 구체화해 선제타격 개념을 포함한 작전계획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순진 합참의장은 이날 오전 화상으로 개최한 긴급 작전지휘관 회의에서 군 대비 태세 강화를 주문했다. 이 의장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작전사 이하 전 부대는 적의 사소한 움직임이라도 예의주시해 적 의도를 면밀히 감시하라”고 주문했다. 이어 “만약 적이 도발한다면 단호하고 강력하게 응징해 북한 정권이 자멸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비태세를 확립하라”며 군사적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방부와 합참은 이날 오전 핵실험 징후가 포착되자마자 20분 만에 초기대응반을 구성해 상황 파악에 나섰다. 이후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합참 지휘통제실에서 위기관리위원회를 열어 핵실험 정보를 파악한 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회 국방위원회 회의 등에 참석해 대응책을 모색했다.
[관련기사 보기]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軍 “北 핵 사용 징후 땐 김정은 지도부 직접 응징”
입력 2016-09-10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