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금리 인상 움직임에 국내 가계부채 급증 우려가 더해져 한국은행의 9월 기준금리가 동결됐다. 한은의 연내 추가 금리 인하가 어려워졌다는 전망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9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9일 결정했다. 지난 6월 사상 최저치인 연 1.25%로 0.25% 포인트 내린 뒤 석 달 연속 동결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와 미 연준의 연내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에 유의해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7명의 금통위원 만장일치 결정이다.
이 총재는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두고 “우리나라의 실효하한 금리 수준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원론적 언급이긴 하지만 한은의 금리인하 움직임에 제동을 거는 요인임은 부인할 수 없다. 장기 채권 금리 하락에 대해서도 이 총재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 장기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반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내 경기를 바라보는 시각은 조금 밝아졌다. 이 총재는 “7월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영향으로 소비와 투자가 부진했지만 8월엔 반등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은이 연내 추가로 금리를 내리기 어려워졌다는 분석도 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박형민 연구원은 “연준의 정책 불확실성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금통위는 현재의 정책 스탠스를 연말까지 유지할 전망”이라며 “추가 0.25% 포인트 인하를 전망했던 기존 전망을 수정한다”고 밝혔다.
하나금융투자 역시 ‘연내 동결’로 전망을 바꿨다. 가계부채 우려 목소리가 여전하고 경기둔화 때 통화정책보다는 재정 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가 발표되는 등 금리 동결 명분을 쌓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미선 연구원은 “미 금리인상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한은이 인하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글=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한은, 금리 동결… 연내 추가 인하 멀어질 듯
입력 2016-09-10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