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정상회의, 北 겨냥 ‘핵포기 촉구 성명’ 첫 채택

입력 2016-09-08 21:27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라오스를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전(현지시간)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열린 한·인도 정상회담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허점 없는 대북 압박과 제재에 회원국들이 동참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 EAS 참가국 정상들이 북한을 겨냥해 ‘EAS 비확산 성명’을 사상 처음 채택한 것은 실제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데 공감했기 때문이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EAS 정상들이 북한을 지목해 핵·미사일 포기를 촉구함으로써 북한에 국제사회의 엄중한 메시지가 분명히 전달되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EAS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와 아세안 회원국 등 18개국 정상들이 참여하는 동아시아 최상위 전략 포럼이다. 북한의 핵 포기를 명시적으로 촉구한 비확산 성명은 호주가 주도했으며, 중국 러시아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중국, 러시아 정상 앞에서 다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의 당위성을 역설한 것도 주목을 끄는 부분이다. 중국, 러시아 입장을 감안해 ‘사드’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배치가 불가피하다는 우리 정부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EAS에서 논의된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선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비군사화 공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7월 남중국해 중재재판 판결을 계기로 분쟁이 평화적이고 창의적인 외교 노력을 통해 해결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EAS에는 각국 정상들과 함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전날 EAS 갈라 만찬에서 반 총장과 같은 테이블에 앉았다. 반 총장 부부는 아웅산 수치 미얀마 외무장관 겸 국가자문역을 사이에 두고 박 대통령과 나란히 앉았다.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은 짧은 인사만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앞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가진 정상회담에선 지난 6월 개시된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을 신속히 진행시키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모디 총리는 회담에서 과거 구자라트 주지사 시절을 회고하면서 “당시 ‘어느 나라를 모델로 하느냐’는 언론 질문에 ‘나는 한국을 롤모델로 하겠다’고 했다”고 소개했다. 또 “인도는 한국 기업이 겪는 문제는 언제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문제가 있다면 언제든 제기해 달라”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비엔티안=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