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을 어찌할꼬?… 고민 깊어 가는 거래소

입력 2016-09-08 18:12 수정 2016-09-23 17:25
대우조선해양의 상장을 폐지해야 할지 거래소가 고심에 빠져 있다. 대우조선의 경영지표는 총체적 부실로 상장폐지 할 만한 수준이지만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방향과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 난감한 입장이다.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오는 29일까지 기업심사위원회를 열고 대우조선을 코스피에서 상장폐지 할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해야 한다. 8일 거래소에 따르면 교수, 변호사 등 각계의 외부 전문가 7명을 선정해 심사위를 구성한 상태다. 공정한 심사를 위해 심사위원의 면면과 정확한 일자 등 세부사항은 공개되지 않는다.

상장에 적격한지를 따지는 요소인 재무건전성, 경영투명성, 영업지속성에서 대우조선은 모두 낙제점이다. 누적적자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고, 경영투명성도 분식회계와 임원 및 직원들의 횡령으로 최악이다.

영업지속성 측면에서도 대우조선의 올해 매출은 지난 8월 기준 약 9000억원으로 당초 계획한 10조원에 크게 못 미친다. 신규 수주도 9억8000만 달러 수준에 그쳤다.

지표상으로는 상장폐지가 당연하지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거래소 관계자는 “실질심사를 애초에 도입했던 취지 자체가 상장폐지 고비에 있는 부실기업들에 형식적인 기준 말고도 투자자 입장 등 기타 요소도 살피고 기존 지표도 다시 들여다보자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개선 가능성을 재고하기 위해 만든 절차라는 의미로 대우조선에서 적절한 경영 개선책만 내놓는다면 상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의 예상은 엇갈린다.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상장폐지됐을 때 후폭풍이 클 수 있고, 지금까지의 선례 등을 비춰 봐도 개선기간 1년 정도가 주어질 것”이라면서 “그 정도 시간이 흐르면 그간 본 적자를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증권사 연구원은 “워낙 지표가 좋지 않기에 6대4 정도로 상장폐지 확률이 우세해 보인다”고 답했다.

거래소로서는 이래저래 부담스럽다. 정부의 정책방향을 거스르는 것 역시 어렵지만 상장폐지 되지 않을 경우 여론의 후폭풍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위원회 자체가 외부인사로 구성되기에 정치적 압력 등이 들어갈 여지는 적지만 여론의 부담이 있는 건 사실”이라고 답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