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위안부 재단에 10억엔을 출연한 것에 대응하는 조치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를 제기하면서 우리 정부가 해법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소녀상 이전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면서 “양국 외교장관이 지난해 12월 28일 합의 당시 발표한 그대로이며,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고 밝혔다. 전날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소녀상 문제를 거론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정상회담의 구체적 논의사항에 대한 언급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소녀상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며 “12·28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성실한 이행으로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길 바란다는 취지의 언급만 있었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위안부 합의 내용을 준수한다’는 방침 외에 소녀상 문제를 거론하거나 관여할 상황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번 국면에서도 민간단체가 세운 소녀상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철거 문제를 왈가왈부할 사안이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이와 관련, 한 정부 관계자는 “소녀상 문제를 직접 거론하거나 관련 단체와 협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로서는 일단 일본의 자금 출연이 선행돼 소녀상 문제와 자금 출연이 직접 연계되지 않았다는 점이 우선 확인된 만큼 시일을 두고 차분히 대응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권은 아베 총리의 소녀상 철거 언급과 관련, “이면합의 여부에 대해 분명히 해명하라”며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다. 더민주 금태섭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일본 언론 보도가 사실이라면 한·일 정부의 위안부 협상에 소녀상 철거가 포함됐다는 말”이라며 “정부가 부인해온 이면합의의 존재를 강하게 암시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당 유성엽 의원도 “사과와 반성 대신에 돈으로 때우겠다는 일본과의 굴욕적인 외교를 중단하고 소녀상 철거에 대한 의사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정부, 日의 ‘소녀상 이전’ 압박에 해법 고심
입력 2016-09-08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