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하는 가계 부채… 8월 증가폭 역대최대

입력 2016-09-08 18:09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한 달 만에 8조7163억원 늘어 올해 들어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역대 8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 증가분이다. 정부 대책이 나온 시점이 지난달 25일이어서 정책 반영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중·고령층 자영업자에 대한 대출규제 강화와 집단대출 심사강화 등 추가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8월 말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마이너스통장대출 등) 잔액은 682조3777억원으로 7월 말보다 8조7163억원 늘었다. 집값 상승에 기댄 주택담보대출이 6조1827억원 증가해 폭증세를 주도했다. 한은은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8월 1만2000가구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주택 거래로 증가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마이너스통장대출의 증가세도 주목된다. 8월에만 2조5000억원 늘어 7월에 비해 증가폭이 5배나 됐다. 휴가철 자금 수요뿐만 아니라 생계비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파악돼 부채의 질 악화 우려도 나온다. 자영업자 대출로 부르는 개인사업자대출 역시 2조2000억원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51∼65세 중·고령층 자영업자 대책과 아파트 집단대출 규제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주택금융공사와 금융위원회가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가계부채 포럼에서 “사업자금 마련을 위한 주택담보대출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이 되지 않아 중·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자 대출 건전성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송 연구위원은 또 “아파트 집단대출은 분양 후 2∼3년간 순차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향후 가계부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집단대출을 DTI(총부채상환비율) 심사대상에 포함하는 등 가계대출 규제의 사각지대를 축소시키고,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우성규 백상진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