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술이 국내 처음으로 도입된다(사진).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이하 왓슨)’로 명명된 클라우드 기반의 인공지능 컴퓨터 서비스가 다음 달부터 가천대 길병원에서 활용된다.
IBM과 가천대 길병원은 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왓슨은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를 분석해 의사들이 암환자에게 개별화된 치료를 제공하도록 돕는다.
왓슨은 300개 이상의 의학 학술지, 200개 이상의 의학 교과서 등 1500만 페이지에 달하는 의료 정보를 학습했다. 1초에 책 100만권을 읽는 수준이다. 의사들은 왓슨을 활용해 최신 연구 결과와 임상 가이드라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로버트 메르켈 IBM 왓슨 헬스종양학 및 유전학 글로벌 총괄사장은 “의학 문헌은 매년 빠르게 늘어나 2020년에는 40일마다 정보량이 2배로 성장할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모든 정보를 의사가 학습하기 어렵기 때문에 왓슨은 의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인공지능 기술이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했다. 이언 가천대 길병원 인공지능기반 정밀의료추진 사업단장은 “치료법 결정에 대한 최종 결정권자는 의사이고, 왓슨은 의사가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효율적으로 내릴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가천대 길병원은 왓슨을 유방암, 폐암, 대장암, 직장암, 위암 등 국내에서 많이 발병하는 주요 암 치료에 다음 달부터 활용할 예정이다. IBM은 길병원과 함께 한국어와 국내 의료 가이드라인에 맞춘 현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길병원, IBM 인공지능 ‘왓슨’ 내달부터 암치료에 활용한다
입력 2016-09-09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