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라오스를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7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북한 핵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해 한·미·일 3국 간 공조를 더욱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한·일 정상은 또 지난해 말 위안부 합의를 계기로 양국 관계에 긍정적 모멘텀이 마련된 만큼 앞으로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오후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이런 방안에 합의했다.
박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이 핵·미사일에 집착할수록 돌아오는 결과는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자멸을 재촉할 뿐이라는 것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북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는 한·일 양국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지적한 뒤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은 물론 북한 비핵화 달성을 위해 양국이 더 긴밀히 협력해 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도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형언할 수 없는 폭거”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포함해 일·한 양국이 협력해 대응하자”고 말했다. 두 정상은 북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해 한·미·일 3국의 대북공조,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의 충실한 이행 등 다양한 압박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선 박 대통령은 지난해 말 위안부 합의를 언급한 뒤 “(위안부 피해자) ‘화해·치유재단’ 사업을 통해 피해자 분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가 하루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계속 협력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작년 말 합의 이후 일·한 관계가 전향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박 대통령과 함께 미래지향적 협력을 발전시켜 일·한 신시대로 가고 싶다”고 화답했다.
아베 총리는 이와 함께 올해 중 한·중·일 3국 정상회의의 일본 개최에 맞춰 박 대통령에게 연내 일본을 방문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비엔티안=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한·일 정상, 北 ‘핵·미사일 도발’ 한·미·일 공조 강력 추진
입력 2016-09-07 21:26 수정 2016-09-08 0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