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주(가명·42·여)씨는 서울 여의도 오피스텔에서 혼자 산다. 가족이 없는 것이 아니다. 다만 결혼을 하지 않았고, 컨설턴트라는 직업 탓에 불규칙한 출퇴근시간 등을 고려해 부모로부터 독립했다. 김씨의 일터에서, 친하게 지내는 사람들 사이에서 ‘혼자 사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김씨는 “나 스스로 살아갈 만큼 벌고, 나이도 들었다”면서 “나처럼 결혼을 안 한 사람부터 아이 교육이나 직장 때문에 가족과 떨어져 있는 사람들까지 지금 내 주변에선 독거가 더 평범한 느낌”이라고 말한다.
경북 청도에 사는 박진석(가명·69)씨도 혼자다. 그러나 박씨에게 독거는 불편과 외로움 그 자체다. 7년 전 아내와 이른바 ‘황혼 이혼’을 할 때만 해도 이런 노년을 기대한 건 아니었다. 2∼3년 전까지만 해도 대학생인 막내아들이 방학마다 와서 지내고 큰아들 내외도 자주 방문했다. 무엇보다 노모가 살아계셨다. 그런데 어머님은 돌아가시고, 손주가 생기고, 막내아들이 취업까지 하니 자식들의 방문도 줄었다. 박씨는 “자식들이 잘살아가는 게 고맙지만 난 점점 혼자가 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혼자 사는 가정, 1인 가구가 한국에서 가장 흔한 가구 유형이 됐다. ‘엄마 아빠 형제·자매’ 식의 4인 가구나 부부 중심의 2인 가구보다 혼자 사는 집이 많아진 것이다.
열 집 중 두세 집은 ‘혼자’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1인 가구 형태가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는 520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7.2%를 차지했다. 1990년만 해도 9.0%에 불과했던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했다. 그 다음은 2인 가구로 26.1%였다. 가구의 절반 이상이 혼자 혹은 둘이 사는 형태다.
2005년만 해도 4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았다. 4인 가구가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가구 형태였다. 2010년 조사 때는 2인 가구가 24.6%로 가장 많았는데, 이번엔 1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가구 유형이 된 셈이다.
1인 가구 확산은 혼자 밥 먹고, 혼자 영화 보는 나홀로 문화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삶 자체를 홀로 영위해야 하는 독거는 유행처럼 선택할 수 있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혼자 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면서 1인 가구를 형성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혼자 살아야만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는데 부모를 자식이 부양하는 문화는 사라지다보니 혼자 사는 노인이 늘었다는 것이다. 지역별로 봐도 1인 가구 비율은 강원에서 31.2%로 가장 높았다. 평균 가구원 수가 가장 적은 지역 역시 강원(2.36명) 전남(2.36명) 경북(2.36명) 등으로 고령화지수가 높은 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가족이 따로 살게 된 1인 가구도 영향을 미친다.
아주대 노명우 사회학과 교수는 "현재 한국의 1인 가구 확산은 미혼 요인보다는 고령화 요인이 더 크다"면서 "젊은 연령만 봤을 때는 선호도에 따른 선택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노인 1인 가구와 여성 1인 가구 증가가 분명해진다"고 말했다.
한국인 중간 나이는 40대
실제 한국의 저출산고령화는 현재진행형일 뿐 아니라 미래진행형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데 심각성이 있다. 2015년 기준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5년 전보다 97만명 줄어 600만명대(691만명)로 내려앉았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57만명으로 5년 새 121만명이나 늘었다. 이런 속도라면 다음 인구주택총조사가 이뤄지는 2020년에는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추월하게 된다.
전 인구를 한 줄로 세웠을 때 중간에 있는 나이를 뜻하는 중위 연령도 41.2세로 처음으로 40대에 진입했다. 2010년 38.2세보다 3세 늘어난 것이다. 모든 시·도 단위는 고령인구 비율이 7% 이상인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고 전남은 고령인구가 21.1%에 달해 초고령사회가 됐다.
한국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여전하다. 수도권 인구는 2527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9.5%가 모여 산다. 이 중 경기도 인구만 24.4%다. 반면 서울 인구는 5년 전보다 1.6% 감소했다. 서울 집값 상승 등으로 주거 인구가 경기도로 빠져나가 경기도 인구가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2010년보다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제주(9.9%)였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혼자 살아요” 10가구 중 2∼3곳… 2인 가구 추월
입력 2016-09-08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