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안 6개 시·군이 상생발전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강릉과 동해·속초·삼척·고성·양양 등 동해안권 6개 시·군은 7일 오전 동해시청에서 ‘강원도 동해안권 상생발전협의회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협의회 초대회장에는 최명희 강릉시장이 추대됐다.
협의회는 창립선언문을 통해 “지방자치와 지방협력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소명으로 자치단체 단독으로는 새로운 발전전략을 모색하기 어려운 시대에 이르렀다”면서 “사실상 하나의 권역으로 뭉친 우리는 지속적인 협력과 혁신을 통해 강원 동해안권이 중심이 되는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오는 10월 협의회 창립을 기념해 고성에서 삼척까지 6개 시·군이 함께 참여하는 ‘동해안 600리길 자전거 릴레이 대행진 행사’를 열기로 했다.
특히 협의회는 사전 협의를 거쳐 마련된 ‘9대 상생·협력 발전과제’에 대해 공동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상생·협력 발전과제는 동해안 해안침식, 동해선 국가철도망 구축, 수산종묘 방류확대와 자원관리 협력, 동해안 군 경계철책 철거, 양양국제공항 활성화, 2018평창동계올림픽 붐 조성, 동해안 관광마케팅 공동수립, 동해안 산림피해 예방대책, 해수욕장 주차료·시설사용료 등 유료화·일원화 등 9개다.
이날 회의에서 협의회는 2017년부터 야영장과 샤워장, 주차장 등 해수욕장 시설 사용료를 모두 유료로 일원화하기로 결정했다. 대신 해수욕장 입장료는 모두 무료로 통일했다. 그동안 시·군별 해수욕장에서는 시설 사용료를 받는 곳과 받지 않는 곳이 있어 관광객들의 단골 민원대상이 되곤 했다.
또 소나무 재선충병 등 산림병해충 공동 대응을 위한 6개 시·군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시·군별로 운영하고 있는 관광 홈페이지를 통합하고 공동 홍보물 제작과 홍보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동해안 최대 현안인 해안침식 문제도 국비 확보 등을 위해 공동 대응한다. 현재 동해안 해안선 372㎞ 가운데 41㎞에서 해안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통일·북방시대 국제교류협력 및 강원 동해안권 관광·물류산업 증진을 위한 삼척∼고성 제진 간 동해선 국가철도망 구축사업을 위해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다.
최명희 회장은 “동해안 6개 시·군은 단일 공동체로서의 역사적인 씨앗을 뿌렸다”며 “각 시·군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살리면서, 폐쇄적인 행정구역의 장벽을 넘어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동해=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공동 번영을 위해”… 동해안 6개 시·군 뭉쳤다
입력 2016-09-07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