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 ‘문·이과 통합’이라는 실험이 시작된다.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두루 갖춘 인재를 키워내려면 문과, 이과라는 틀을 허물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오래전부터 있었다. 첫 적용 대상은 현재 중학교 2학년이다. 이들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2018년 전국 고교에서 시행된다. ‘문과형 인간’ ‘이과형 인간’이라는 말이 없어질까. 궁금증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문·이과 통합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고교 1학년까지 문·이과 구분 없이 배우는 공통과목을 도입했다.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 과학이 공통과목이다. 사회와 과학은 각각 통합사회, 통합과학이란 과목으로 개발됐다. 실험·실습 중심의 과학교육을 위해 과학탐구실험이란 과목도 신설했다. 2학년부터는 진로에 맞춰 선택 과목들을 이수하게 된다. 예컨대 대학을 경상계열로 가려는 학생이라면 경제수학, 어문계열이라면 영미문학 읽기나 한문 등을 선택해서 수업을 듣는 방식이다. 대입에서도 지원하려는 학과 관련 수업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으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어떤 과목인가.
“통합사회에선 중학교까지 배운 사회, 도덕의 기본 내용을 ‘대주제’ 중심으로 배운다. 단편적인 지식 습득을 탈피하고 사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구성했다. 예컨대 ‘지속가능한 삶’과 같은 대주제에 접근하기 위해 그동안 배운 개념들이 활용된다. 통합과학도 비슷하다. 중학교까지 배운 자연과학의 핵심 개념을 적용해 자연 현상을 이해하도록 했다. 자연현상에 대한 4개 핵심 개념은 ‘물질과 규칙성’ ‘시스템과 상호작용’ ‘변화와 다양성’ ‘환경과 에너지’ 등으로 제시됐다.”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누가 가르치는가.
“종전 사회 교사, 과학 교사가 연수를 받아 가르친다. 예를 들어 지리 교사가 역사와 윤리, 법 등 다른 분야에 대해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특히 토론식, 프로젝트식 수업을 통해 학생의 통합적 사고를 끌어내야 하므로 수업 역량이 더욱 중요해졌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핵심교원연수, 직무연수, 심화연수 등을 통해 다른 과목에 대한 지식은 물론 교수법까지 갖추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어떻게 연계되는가.
“새 교육과정과 연동되는 대입제도는 연구 중이다. 최종안이 내년에 발표되며, 현재 중2가 보는 2021학년도 수능(2020년 11월 시행)부터 적용된다. 공통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 공통사회 공통과학 한국사는 필수과목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 새 교육과정은 주로 1학년 때 공통과목을 공부한 뒤 일반선택과 진로선택 과목을 골라 학습하도록 설계됐다.”
-자율형사립고나 외국어고 등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하나.
“자사고는 교육과정 편성에서 자율성을 누려왔다. 이를 국어 영어 수학 등 입시 위주 과목을 더 많이 가르치는 데 활용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새 교육과정은 물론 내년 윤곽을 드러내는 대입제도가 다양한 교과의 균형 있는 학습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탐구 영역이나 생활교양 수업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외고는 외국어 전문교과 수업이 다소 줄어들고 수학이나 과학 등의 수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미리 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하>] 현 중학 2학년생 고교 진학 때부터 문·이과 통합
입력 2016-09-07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