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소속 선박들이 6일 일본에서 입항을 거부당했다. 일부 선박은 부산으로 회항했다. 한진그룹이 법정관리 1주일 만에 조양호 회장의 사재 출연 400억원을 포함한 총 1000억원을 자체 조달해 물류대란 해소에 나서겠다고 밝혔고 정부도 입항을 돕겠다고 했지만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
일본은 전날 도쿄 지방재판소에서 한진해운의 회생절차를 승인해 강제집행 없이 운항할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도 나고야와 도쿄, 요코하마 항만의 하역업체 등이 작업을 거부했다. 스카이프라이드호와 시판 아일랜드호는 지난 1일 입항할 예정이었으나 끝내 부산으로 뱃머리를 돌렸다. 한진 애틀란타호와 한진 제네바호는 아직 도쿄 앞바다에 머물러 있다.
부산항만공사 일본대표부는 “일본은 체불을 이유로 쉽게 서비스를 거부하는 일이 없는데도 현장에서 한진해운 사태가 해결되기 어렵다고 판단해 이런 일이 빚어진 것 같다”고 전했다.
한진그룹은 이날 조 회장이 400억원을 내놓고 미국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터미널 지분 등 600억원의 담보로 물류대란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한진그룹은 “한진해운은 이미 법원 관리 하에 들어 있지만 수출입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룹 계열사를 통한 물류 처리 및 수송 지원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룹의 자금 지원으로 돌파구가 일부 마련된 셈이지만 해운산업이 뿌리째 흔들리는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한진해운이 주요 항만에서 짐을 내리는 데 필요한 비용과 싱가포르 컨테이너선 압류 해결 비용만으로도 약 1700억원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중국에서 선박 2척이 추가로 압류된 점을 고려할 때 1000억원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최소 금액에도 못 미친다.
스테이오더(압류금지명령)를 최대한 이끌어내겠다는 정부 대책도 일본에서의 회항 사태로 실효성이 의문시되는 상황이다. 바다 아래까지 떨어진 한진해운의 신뢰도를 끌어올릴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지만 정부는 “추가적인 자금 지원은 없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며 “다만 한진그룹의 1000억원이 당장 현금화되도록 협조하겠다”고만 밝혔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당정협의를 갖고 한진그룹이 담보를 제공하면 1000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이 역시 가능성은 떨어진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채권단은 한진그룹의 1000억원 대책도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채권단 관계자는 “한진 측의 자금 지원이 일부 효과는 있겠지만 스테이오더가 없는 곳에서는 이를 미끼로 선박 압류가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
세종=서윤경 기자, 백상진 나성원 기자 y27k@kmib.co.kr
한진, 1000억 ‘찔끔’ 지원… 日서도 입항거부 사태
입력 2016-09-07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