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교섭단체 대표 연설] 민생이 ‘만능키’… 靑에 경제정책 기조 전환 압박

입력 2016-09-07 04:03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가 6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마친 뒤 본회의장 여당 의원석을 찾아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6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29차례나 ‘민생’이라는 단어를 언급하며 박근혜정부의 경제정책 기조 전환을 촉구했다. 사드 배치 등 정부의 안보·외교 기조를 비판하면서도 근거를 민생 불안에서 찾았다. 사실상 내년 대선을 ‘경제 민주화’ 등 민생 의제로 치르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민생경제 긴급 회동 제안

추 대표는 경제 문제 전반을 논의하기 위한 대통령과의 긴급 회동을 제안했다. 경제 위기가 심각하다는 상황 인식과 해법을 빨리 찾아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나온 결정이다. 애초 원고에는 ‘영수회담’이라고 표현돼 있었지만 막상 연설에선 ‘긴급 회동’이라고 수위를 조절했다. 더민주 관계자는 “단둘이 만나는 느낌이 강한 영수회담이라는 단어보다 여러 가지 형식의 가능성을 열어놓자는 취지 아니었겠느냐”며 “회동 실현 가능성은 낮다고 보지만 그만큼 청와대를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추 대표의 ‘민생 강조’ 기조는 일관적이다. 그는 대표로 선출된 이후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민생”이라는 말을 자주 언급했다. 민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당적인 협력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연설에서 “합의의 정치가 양극화 문제, 저성장 문제 해결의 일대 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연설이 끝난 뒤 본회의장에서 새누리당 의원 쪽으로 다가가 먼저 악수를 청했던 것도 그런 맥락이다.

추 대표는 민생경제의 핵심은 ‘공정 임금’과 ‘조세 개혁’이라고 강조하면서 대기업에도 고통 분담을 요구했다. 그는 “법인세 정상화는 반드시 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노동한 만큼의 공정한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적정임금을 보장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과 노동자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대기업이 나서 달라”며 “국회가 나서기 전에 대기업 스스로 (법인세 인상을) 검토하는 것만으로 대한민국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이라고도 했다.

안보 이슈도 민생으로 풀어

사드 배치 반대 입장을 밝혀 왔던 추 대표는 연설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유지했다. 그는 “사드는 북한의 미사일로부터 국민 안전을 책임지지 못하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무용지물”이라며 “북핵이 고삐 풀린 괴물이 돼 예측불허의 재앙 수준으로 가고 있다. 뒷북 외교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추 대표는 반대 입장을 표명하면서도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실력행사의 방법은 언급하지 않았다. 오히려 안보·외교 문제를 민생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으로 논란을 피해갔다. 그는 “사드 문제가 우리에게 불편한 또 다른 이유는 국민에게 외교적, 경제적 선택을 강요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안보와 경제가 함께하는, 기업 활동과 국민 생업을 지키는 유능한 안보가 바로 더민주가 추구하는 민생안보의 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보기]


글=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