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률 높은 전남·부산·울산 등 건강진단에 C형간염 검사 포함

입력 2016-09-06 18:27

C형간염 관리가 ‘표본감시’에서 ‘전수감시’로 바뀐다. 유병률(有病率)이 높은 지역의 생애전환기 건강진단(만 40세, 66세)에 C형간염 검사도 포함된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료기관 내 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C형간염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C형간염 예방 및 관리대책’을 6일 내놨다. 복지부는 우선 이번 정기국회 중에 관련법을 개정해 C형간염을 3군감염병으로 지정키로 했다. 이렇게 되면 186개 의료기관에만 신고 의무가 부과돼 있는 체계에서 모든 의료기관에 신고 의무가 부과되는 체계로 전환된다.

또 C형간염 환자가 많은 지역의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에게 먼저 C형간염 검사를 진행한다. 내년 상반기 중 시범 실시에 들어간 뒤 확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관련 학회 등에 따르면 전남 부산 전북 울산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C형간염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구 대비 크게 부족한 역학조사관도 추가로 확충한다. 국내 역학조사관 1명당 담당 인원은 72만명이다. 실제로 C형간염 관련 위법 의심행위가 적발된 26곳 가운데 2곳에 대해서만 선별 역학조사를 했을 정도로 조사관이 부족한 상황이다.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등 감염병 전파 가능성이 상당한 경우에는 역학조사 결과 전이라도 영업정지를 하거나 병원명을 공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하지만 이번 대책은 사후약방문 성격이 강하다.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과 강원도 원주 한양정형외과에서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가 잇따라 발생했지만 정부는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근절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고 환자 조기 발견 및 관리에 대해 별다른 방안을 마련하지 않았다. 2012년 정부 연구용역을 통해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에 C형간염 검사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까지 있었지만 또다시 집단감염 문제가 불거진 후에야 부랴부랴 대책을 마련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