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C형 간염 소동’ 정부 책임·사죄 촉구 목청

입력 2016-09-06 18:07
전북 순창에서 C형 간염 환자가 200여명 집단 발병했다고 잘못 알려진 소동과 관련한 파장이 크다. 지역 정치권과 순창군은 정부의 어처구니없는 처사로 지역과 해당 병원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책임을 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광수(전주시 갑) 국회의원은 “보건복지부나 질병관리본부가 건강보험공단에 기초적인 시·군·구별 진료현황만 확인했어도 이번 해프닝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졸속 행정을 펼친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인용해 “순창지역은 C형 간염 질환 진료인원이 2006년 217명, 2007년 209명, 2012년 257명, 2014년 266명, 2015년 237명으로 데이터상 특별한 이상 징후가 없는 지역”이라며 “그러나 질병관리본부가 추가 확인하지 않고 확정되지 않은 결과를 언론에 알려 순창지역은 ‘C형 간염 발병지’라는 불명예가 씌워졌고 해당 병원은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엄정하게 이 문제를 따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민의당 소속 전북지역 국회의원들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질병관리본부의 대국민 사과와 정정 보도를 요구하고 피해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용호(남원 임실 순창)·정동영(전주시 병) 의원 등은 이날 “지난해 메르스 사태로 인해 순창지역 경제가 큰 피해를 본 적이 있는데 1년 만에 정부의 헛발질로 순창은 다시 한 번 큰 상처를 입게 됐다”며 “책임자를 문책하고 지역에 더 피해가 없도록 신속한 대책을 실행하라”고 주장했다.

이번 소동은 질병관리본부가 지난달 30일 순창의 한 병원에서 역학조사를 벌인 뒤 브리핑계획을 세웠다가 취소하면서 일어났다. 다음날 일부 언론이 ‘순창에서 C형 간염 집단 발병'이라고 보도하면서 파문이 커졌다. 복지부는 6일에야 “순창지역 의원은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처분대상에서 제외됐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순창 지역과 해당 병원은 이미 적지 않은 피해를 보고 있다. 순창군 관계자는 “해프닝이라고 하지만 청정 순창 이미지가 또 흔들리고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