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 정부 ‘책임론’ 압박에 부담? 한진해운에 2000억 자금 수혈 검토

입력 2016-09-06 00:10
한진해운 관련 고용지원 방안 긴급 당정 간담회가 열린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과 새누리당 하태경 환경노동위 간사, 김무성 전 대표 등이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뉴시스

한진그룹이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야기된 물류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 자금 수혈에 나서기로 했다. 금융위원회 등 정부가 5일 대주주의 책임을 들며 압박한 데 따른 부담으로 이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진그룹은 이날 오후 한진해운에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산업은행에 제안했다. 양측은 자금 규모 등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6일 협의를 재개키로 했다.

한진그룹은 체납 중인 하역운반비가 2200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해 2000억원 정도 지원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날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 후 예상되는 물류 혼란과 관련해 사전 정보 제공에 협조적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한진해운이 운항정보 제공에 탐탁해하지 않아 (정부의) 질서 있는 대비에 한계가 있었다”며 “한진그룹과 대주주가 사회적 책임을 갖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정부는 한편 범정부 합동대책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를 열고 주요 대륙별 거점항만을 정해 한진해운 소속 선박의 컨테이너를 일단 하역토록 계획을 세웠다.

[관련기사 보기]




박세환 나성원 기자, 세종=유성열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