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이 롯데그룹 창업주인 신격호(94) 총괄회장에게 7일 오전 10시까지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을 요구했다. 지난 6월 10일 시작돼 약 세 달간 진행돼 온 롯데그룹 수사가 핵심 총수 소환이라는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수년간 치매약물을 복용하는 등 건강이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신 총괄회장의 출석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신 총괄회장 측은 검찰에 직접 출석 대신 방문조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5일 “지난 1월에도 신 총괄회장이 검찰에 출석해 조사받은 적이 있다는 것을 감안해서 출석 요구를 했다”고 밝혔다. 신 총괄회장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조세포탈과 780억원대 배임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신 총괄회장은 2006년 차명으로 보유하던 일본롯데홀딩스 주식 6.2%를 큰딸인 신영자(74·구속 기소) 롯데장학재단 이사장과 셋째부인 서미경(56)씨 모녀에게 3.1%씩 편법으로 증여해 약 6000억원을 탈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 서씨가 운영하는 롯데시네마 내 매점 등에 일감을 몰아줘 관련 계열사에 780억원의 손실을 끼친 혐의도 있다.
법원은 지난달 31일 신 총괄회장에 대해 정신적 제약으로 사무를 처리할 능력이 부족하다며 ‘한정후견’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법원이 정한 후견인이 대리인으로서 법원이 정한 범위 안에서 대리·동의·취소권 등을 행사하게 된다. 검찰은 그러나 “신 총괄회장에 대한 조사 내용은 본인 과거 증여, 탈세·배임 등으로 그 부분에 대해 본인이 법적 책임을 인지하고 있는지 여부는 한정후견 결정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검찰은 일본에 머물며 검찰의 소환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는 서씨에 대해 “(신병 확보를 위해) 강제적인 수단을 동원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검찰에 재소환된 소진세(66) 롯데그룹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은 검찰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롯데그룹에 비자금은 없다”고 밝혔다. 소 사장은 신동빈(61) 회장이 일부 계열사를 동원해 특정 계열사 밀어주기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그런 사실이 없고, 신 회장이 밀어주기를 지시한 적도 없다”고 부인했다.
글=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신격호 9월 7일 소환 통보
입력 2016-09-05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