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공항 항공정비단지 무산돼 수백억 혈세 낭비… 특별조사위, 진상규명 나선다

입력 2016-09-05 21:00
아시아나항공의 포기 선언으로 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진 청주공항MRO(항공정비)단지 조성 사업에 관한 책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충북도의회는 충북도와 충북경제자유구역청(경자청)의 청주공항MRO 관련 업무 전반을 재점검하기 위한 특별조사위원회 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도의회는 오는 9일 의회 운영위원회를 열어 진상조사 특위를 구성할 방침이다. 여야 의원 7명이 참여하는 특위를 통해 6개월 이내에 MRO단지 좌초 원인과 책임을 추궁하겠다는 입장이다.

도가 2014년 12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결별한 후 아시아나항공과 손을 잡은 과정, 아시아나항공 사업 포기 등이 조사 대상이다.

도와 경자청은 청주공항MRO 단지 조성 사업을 위해 그동안 246억원을 들여 토지보상비와 공사비, 설계·감리비 등으로 지출했다.

이와 별도로 2009년 1억9500만원을 들여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청주공항MRO사업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으로 시작으로 그동안 모두 6차례에 걸쳐 쏟아 부은 연구용역비가 8억3300여만원에 이른다.

같은 해 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에는 9300만원 주고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 타당성 연구용역을 의뢰했고 2011년에는 1억8000만원을 들여 프로스트&설리번이라는 외국 회사에 해외기업투자유치 컨설팅 연구용역을 줬다. 지난해에는 3건의 연구용역을 거의 동시에 발주했다.

연구용역의 목적은 투자유치 전략 수립, 국내외 MRO산업 현황 분석, 항공정비 인력 수급 방안 수립, 유치 티깃 기업 발굴과 비즈니스 모델 분석 등으로 알려졌다.

이들 6건의 연구용역 중 국비를 일부 지원받은 연구용역은 산업연구원의 청주공항MRO 사업타당성검토 연구용역 뿐이고 나머지는 100% 도비로 사용됐다.

경자청은 외국 항공사 등과 접촉해 규모와 무관하게 MRO단지 조성을 추진해 보겠다는 방침이다.

새누리당 충북도당은 이날 성명을 내고 “도의회는 이시종 지사와 충북도의 오판으로 수백억원의 혈세를 낭비한 책임을 반드시 추궁해야 한다”며 “아시아나항공에 미련을 두다가 낭패를 보고도 반성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대강 넘어갈 수 있을까 생각한다면 도민의 신뢰를 잃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충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